수도권에서는 최초로 인천시의 드론전용 비행시험장 구축사업이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
26일 시에 따르면, 국토교통부는 무인비행장치 분야가 급속히 성장하면서 지난 9월 강원 영월, 경남 고성, 충북 보은 등 3개소 드론시험장을 선정한 바 있다.
이후 드론 제조 및 운영업체 증가에 따른 드론시험장 구축에 대한 지리적 접근성 등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인천시에도 드론시험장을 추가로 선정했다.
지난달 14일 수도권해안매립 실무조정위원회에 상정된 드론전용 비행시험장 구축 안건이 무상사용에 대한 근거제시를 조건으로 하여 원칙적인 동의를 얻은 바 있다.
이후 후속으로 제2차 실무조정위원회 서면심의가 진행되면서 인천을 포함한 서울, 경기, 환경부 4자 협의당사자의 합의에 어려움이 있었으나, 인천시에서는 국가정책사업 차원에서 드론시험장 구축에 대한 적극적인 협조를 요청했다.
이와 더불어 이재현 서구청장도 직접 환경부 및 서울시를 직접 방문하여 협조를 구하였고, 서구지역 국회의원과 전재운 시의원도 환경부, 서울시, 경기도, SL공사 등 수도권매립지의 복잡한 이해관계자들을 설득한 결과, 12월 21일 4자 협의당사자 만장일치의 동의를 얻어 드론전용 비행시험장 구축사업이 차질 없이 진행될 수 있는 동력을 확보했다.
수도권 드론전용 비행시험장은 국토교통부가 60억 원의 국비를 들여 수도권매립지 4만㎡의 부지에 통제센터, 정비고, 이착륙장 및 활주로 공간을 조성하여 무인비행장치의 시험장을 구축하는 사업이다.
시는 시험비행의 편의, 지상 인프라 조성, 안전확보 등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시는 시민들이 보다 쉽게 드론을 날릴 수 있는 시민 체험공간을 조성해 취미공간은 물론 향후 e-sports 등 드론 산업의 저변을 확대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드론전용 비행시험장 조성을 위해 국토교통부와 건축허가 및 사전절차 이행에 대한 세부방안을 논의하고, 환경부와 국토교통부를 포함한 3자 간 위험예방대책에 대한 운영지침 수립 및 협의를 통해 수도권매립지가 4자 산업혁명의 전초기지로 거듭나는 계기가 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박창우기자 pc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