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군과 해경이 2014년 4월 16일 발생한 세월호 참사 폐쇄회로(CCTV) 증거자료를 조직적으로 조작, 은폐했을 가능성이 제기돼 파문이 일고 있다.
‘가습기살균제사건과 4·16 세월호참사 특별조사위원회’는 28일 서울 중구 포스트타워에서 ‘세월호 CCTV DVR 관련 조사 내용 중간발표’ 기자간담회를 열고 이같은 의혹을 제기했다.
DVR은 CCTV 영상이 저장된 녹화장치다.
특조위에 따르면 그해 8월 검찰이 세월호 CCTV를 복원한 결과, 참사 발생 약 3분 전인 오전 8시 46분까지만 영상이 존재해 침몰 원인과 선내 구조 상황 등을 확인할 수 없었다.
그러나 일부 생존자는 사고 당일 오전 9시 30분쯤까지 세월호 내 3층 안내데스크에서 CCTV 화면을 봤다고 증언했다.
해경은 참사 발생 두 달이 지난 6월 22일 밤 11시쯤 공식적으로 CCTV DVR을 수거했다.
특조위는 해군과 해경이 CCTV 증거자료를 사전에 확보해 놓고, 이후 연출을 통해 가짜 DVR을 동원해 해당 자료를 수거하는 모습을 보여준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DVR 수거 작업이 담긴 수중 영상을 확인한 결과, 분리·수거 작업 과정이나 DVR을 들고 나오는 과정에서 영상 속에 DVR이 등장하지 않는다는 점을 근거로 들었다.
또 해군이 수거했다는 DVR이 추후 검찰이 확보한 DVR과 서로 다르다는 점, DVR 수거 작업이 밤늦게 남들이 알 수 없는 시점에 이뤄졌다는 점도 조작 정황을 뒷받침한다고 특조위는 설명했다.
박병우 세월호 참사 진상규명국장은 “해군과 해경이 세월호 DVR을 6월 22일 이전에 미리 수거해놓고, 이후 이상 없이 꺼내온 것처럼 연출한 것으로 보고 있다”며 “누군가 미리 수거했고, 국민께 발표하기 어려운 상황이 있어서 수거를 연출한 것 아닌가 추측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통상 해군들은 작업할 때 복명복창을 하는데 (DVR을 수거하던) 그 날은 하지 않았고, 왜 하지 않았느냐는 질문에는 ‘모르겠다’고 답했다”며 “6월 22일 밤 11시를 전후로 해서 바지선에서 무슨 일이 있었는지에 대해 타임테이블과 무전·교신 기록 등 확인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특조위는 해경 측에서 DVR 수거 작업이 담긴 수중 영상 원본을 제출하지 않아 조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전화(☎02-6450-3227)와 전자우편(416truth@korea,kr)을 통해 제보를 요청했다.
박 국장은 “해군 등에서 전역하신 분들과 관계된 모든 분의 긴급 제보가 절실하다”며 “중요한 증언을 하거나 자료 등을 제출한 이들에게 보상금을 지급하거나 사면을 건의할 수 있다”고 밝혔다./박건기자 90vir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