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노총과 민주노총 소속 전국 타워크레인 노동자들의 동시 파업 첫날인 4일 경기·인천지역 수백 곳의 건설현장에서도 타워크레인 점거 농성이 진행됐다.
경기·인천지방경찰청과 건설노조 등에 따르면 경기 152개와 인천 35개 공사현장에서 노조원들이 타워크레인 위에서 고공 농성을 벌이거나 현장 주변을 점거하고 있다.
또 점거 중인 타워크레인은 경기 405여대, 인천 120대로, 타워크레인마다 1명의 조합원이 전날 오후부터 올라가 철야 농성을 벌이고 있다.
이날 오후 수원시 팔달구 고등동 한 아파트 건설현장에서 한 노조원이 타워크레인을 점유하고 농성을 벌였다.
이 밖에도 군포, 광주, 인천 송도 등 대부분의 공사현장들이 노조원들이 점거, 타워크레인에 ‘소형 크레인 철폐’, ‘임금인상’ 등이 적힌 현수막을 걸고 지상에 남은 조합원들은 타워크레인 주변을 둘러싸고 비슷한 내용을 구호로 외쳤다.
고공 농성 중인 조합원들의 식사나 생필품 등은 타워크레인에 걸린 고리를 이용, 자재를 들어올리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공급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경찰과 소방당국은 유사시 에어매트 설치 등 안전조치와 고공 농성 중인 조합원의 건강상태를 확인하는 등 우발상황에 대비하고 있다.
앞서 노조는 한국타워크레인임대협동조합 등과 임금·단체협약을 진행하고 있지만 견해차를 좁히지 못했다.
노조는 임금 7% 인상, 하계휴가의 탄력적 운영, 현장 휴게실 설치 조건 완화 등을 요구하고 있으며 정부에 소형 타워크레인 사용을 금지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
특히 이번 파업의 주원인으로 소형크레인의 사용을 제한해 달라는 것이 관계자들의 요구이다.
김균태 민주노총 전국건설노동조합 교육선정국장은 “명확한 법적 근거없이 소형크레인이 등장하면서 20시간만 교육을 받으면 누구나 작동이 가능해 전문 크레인 업자들의 일거리가 많이 줄었다”며 “국토부에 대책을 요구했지만 매번 대책을 강구하고 있다는 답변만 돌아올 뿐이다”고 말했다.
수원의 한 노조원 A(41·여)씨는 “10층 높이의 오피스텔 등 공사현장에서도 인건비가 저렴한 소형크레인을 사용하다보니, 최근 몇 년간 쉬는 날이 더 늘어나 일거리를 찾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서 “시민의 안전을 위해서도 소형크레인의 사용을 제한을 둬야 한다”고 토로했다.
이에 대해 한 공사업체 관계자는 “당장은 전기, 소방시설, 보수 등 다른 작업을 하면 되겠지만 이후에는 크레인이 멈추면 대체 할 만한 대책이 없다”고 밝혔다.
/박건기자 90vir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