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6회째를 맞은 수원화성문화제가 시민 호응도가 높은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선택과 집중’을 통해 문화제의 질을 높였다.
1일 수원화성문화제추진위원회는 올해 문화제는 오는 10월3~6일 수원화성 일원에서 개최하며, 수원시 승격 70주년과 3·1운동·임시정부수립 100주년을 기념해 ‘과거와 미래를 잇는 축제의 장’으로 진행한다고 밝혔다.
앞서 추진위원회는 지난 8월 29일 열린 추진위원회 전체총회를 열고 지난해 운영된 60개 프로그램 가운데 시민의 호응이 낮은 프로그램을 과감히 폐지하고 호응이 높았던 47개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운영하기로 했다.
화성축조체험, 조선별미극장 등 채택된 프로그램은 전문가 컨설팅을 통해 수준을 한층 높이고, 지난해와 같이 시민이 주도적으로 참여하고 즐기는 축제로 진행한다.
또 시민공모와 추진위 제안을 통해 확정된 ▲시민예술 한마당 ▲3세대가 함께하는 정조사랑 효사랑 ▲달빛가요제 ▲함께 부르는 수원 아리랑 ▲조선의 거리악사 등 시민참여 프로그램 15개를 운영한다.
올해 축제는 3일 행궁광장에서 난장 공연을 시작으로 열린다. 개막연은 정조대왕과 의빈 성씨의 사랑이야기와 화성 축조에 대한 이야기를 담은 공연으로, 시민이 공연에 어우러지도록 의자를 없앤다.
수원화성문화제의 백미인 ‘정조대왕 능행차’ 재현은 수원시·서울시·화성시·경기도가 공동주최해 5~6일 열린다.
5일 서울 창덕궁을 출발해 안양시와 의왕시를 거쳐 수원화성~화성 융릉으로 이어지는 59.2km 구간에서 재현되며, 능행차 재현시간을 1시간30분 단축해 집중도를 높이기로 했다.
능행차 재현 본 행렬에 앞서 펼쳐지는 거리 퍼레이드 ‘조선백성 환희마당’은 시민이 참여해 노래와 춤, 거리극 등을 경연형식으로 펼친다.
행궁광장 일대에서는 조선시대 분위기를 재현한 저잣거리를 조성하고, 전통놀이 체험 기회를 제공한다.
2018년 4월 출범한 수원화성문화제추진위원회는 시민참여 프로그램 기획·거리 질서 안전 등 6개 분과, 위원 358명으로 구성됐으며, 축제 기획부터 운영까지 전반을 책임지고 있다.
김훈동 문화제추진위원회 공동위원장을 비롯한 추진위원, 수원문화재단 관계자와 관내 4개 구청장 등이 참석한 이날 전체총회에서 염태영 수원시장은 “수원화성문화제가 시민이 주인공이 되는 축제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시민 의견에 귀 기울이고, 적극적으로 반영해 달라”고 당부했다.
한편 이날 SKC, IBK 기업은행 동수원지점, 수원시상인연합회 등 수원시내 기업 등이 회의장을 찾아 1억9천400만원의 기부금을 추진위에 전달했다.
/박건기자 90vir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