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 스캔들’에 발목
상원서 뒤집기 vs 지연 전술
신경전 후끈… 대선정국 요동
정당 따라 찬반 극명하게 양분
WP “공화당 ‘헌신’ 확인됐다”
여대야소 상원선 부결 관측 우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우크라이나 스캔들’에 대한 탄핵소추안이 18일(현지시간) 미 하원을 통과했다.
민주당 소속 낸시 펠로시 하원의장이 지난 9월24일 탄핵조사 개시를 공식 발표한지 85일 만이다.
이로써 트럼프 대통령은 1868년 앤드루 존슨, 1998년 빌 클린턴 대통령에 이어 하원의 탄핵을 받은 세 번째 미국 대통령이란 불명예를 안게 됐다.
탄핵안의 하원 가결로 트럼프 대통령이 재선가도에서 정치생명의 위기를 맞은 가운데 탄핵 변수로 미 대선정국이 요동치고 있다.
이제 상원의 탄핵심판 국면을 맞아 ‘민주당 역풍’을 노리며 재선고지에 안착하려는 트럼프 대통령과 탄핵몰이를 이어가며 정권 탈환을 시도하는 민주당간 ‘탄핵 대 반(反)탄핵’의 대치전선이 더욱 가팔라지며 ‘정치적 명운’을 건 일전이 예고되고 있다.
당장 트럼프 대통령과 백악관은 강력 반발하며 상원에서 바로 뒤집겠다며 벼르고 있고, 민주당은 공화당의 ‘졸속 탄핵심판’ 가능성을 경계하며 지연전술 카드를 만지작 거리는 등 ‘포스트 하원 가결’ 신경전도 벌써부터 달아오르고 있다.
하원은 이날 본회의를 소집, 마라톤 찬반토론에 이어 오후 8시가 넘어 권력 남용과 의회 방해 등 두 가지 탄핵소추안에 대한 표결을 차례로 실시했다.
그 결과 두 안건 모두 찬성이 과반을 차지하며 가결됐다.
권력 남용 안건의 경우 찬성 230표, 반대 197표, 기권 1표, 불참 3표였으며 의회 방해 안건은 찬성 229표, 반대 198표, 기권 1표, 불참 3표였다고 외신들이 보도했다.
하원의 현 재적 의석수는 공석 4석을 제외한 431석(민주 233석, 공화 197석 무소속 1석)으로 두 안건 가운데 하나라도 찬성이 과반(216명)이면 탄핵소추로 이어지게 돼 있다.
이번 표결 결과 공화당에서는 반란표 없이 전원 반대를 던지며 이탈 없이 단일대오를 유지하는 등 여야 모두 뚜렷한 당론 투표 성향을 보이며 정당에 따라 찬반이 극명하게 양분됐다.
이와 관련, 워싱턴포스트(WP)는 “당파성이 지배하는 것으로 드러났으며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공화당의 ‘헌신’도 확인됐다”고 분석했다.
이번 탄핵 추진은 미·우크라이나 정상의 7월 25일 통화에 대한 정보당국 출신 내부고발자의 제보로 촉발된 뒤 하원 정보위의 비공개 증언 및 공개청문회, 법사위의 공개청문회 및 탄핵소추안 작성 절차 등을 거쳤다.
이제 탄핵안의 운명은 공을 넘겨받은 상원에서 판가름 나게 된다.
크리스마스 휴회가 끝나는 내년 1월초부터 상원의 탄핵심판 절차가 본격화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민주당이 과반을 점한 하원과 달리 여대야소(공화 53석, 민주 45석, 무소속 2석)인 상원에서는 탄핵안이 부결될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미국의 경우 하원에서 탄핵소추를 받더라도 상원의 최종 결과가 나올 때까지 대통령직을 계속 수행할 수 있는데다 상원에서 부결 가능성이 높은 만큼, 탄핵이 대선 판도에 그다지 영향을 주지 못할 것이라는 관측도 적지 않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