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하대는 송용진 수학과 교수와 박수진 화학과 교수가 과학기술 진흥에 기여한 공로로 ‘2020년 과학·정보통신의 날’ 정부포상을 받았다고 6일 밝혔다.
정부포상 과학기술 진흥 부문 혁신장을 받은 송용진 수학과 교수는 1980년대 초 존 해러(John Harer)가 제기한 ‘해러 추측’ 문제 해결로 우리나라 위상수학 수준을 한 차원 높인 인물이다.
송 교수는 20여 년간 국제수학올림피아드 한국 대표팀을 이끌며 수학 영재들을 발굴하고 교육해 왔다.
그가 배출한 세계적인 수학자도 여럿이다.
특히 지난 2012년과 2017년에는 종합 1위를 차지하는 등 우수한 대회 성적으로 우리나라 수학을 세계 최고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데 이바지했다.
송 교수가 받은 혁신장은 1명에게 주는 1등급 창조장에 이은 2등급 훈장이다.
송 교수는 “지난 29년간 인하대 수학과 교수로 지내며 우리나라 수학을 세계에서 인정받는 수준으로 높이는 데 도움을 줬다는 사실에 자부심을 느낀다”고 말했다.
국무총리 표창을 받은 박수진 화학과 교수는 고분자-탄소 복합, 흡착재료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외에서 발표한 학술 논문만 1천150편에 이르고 특허등록 203건, 기업체 기술이전 97건 등 꾸준한 연구와 성과 보급에 앞장서 국내 과학기술 경쟁력을 살렸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또 전라북도 ‘탄소밸리구축사업’에 주관연구자로 참여해 성과를 거둬 2011년 ‘전라북도 명예도민 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박 교수는 “연구를 바탕으로 우수한 석·박사 연구자를 배출해 사회에 이바지한 점을 평가 받았다고 생각한다”며 “우리나라 과학기술과 산업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윤용해기자 yo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