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인천, 서울시 대중교통요금안 수용 불가방침 확인 전면전 선언
53개 버스업체 지원 확대, 교통카드 독자개발 등 주민부담 최소화
<속보>서울시가 독자적으로 확정한 대중교통요금 개편안에 대해 경기도와 인천시가 전면 수용할 수 없다고 밝혀 당분간 수도권 대중교통체계가 ‘이원화’로 운영된다.
특히 오는 7월 1일부터 서울시의 대중교통요금안이 전격 시행될 경우 대중교통 혼선으로 주민들의 부담이 가중될 전망이다.
21일 도에 따르면 오는 7월 1일부터 시행되는 서울시 대중교통요금안에 대해 경기도와 인천시가 형평성에 어긋나 오히려 주민부담만을 가중시킨다며 수용 거부방침을 밝혀 사실상 서울시와 전면전에 돌입했다.
당초 서울시는 수도권 2천500만명이 이용하는 대중교통의 요금 개편안을 단독으로 확정하고 경기도버스의 서울시 무료환승을 조건으로 수백억원의 서울시 버스적자 보전을 요구했다.
하지만 도는 53개 버스업체가 하루 버스 한대 당 평균 30만원의 적자를 보면서 운행하기 때문에 서울시버스 적자까지 보전할 수 없다며 수용불가 방침을 확정, 수도권 대중교통체계의 이원화가 불가피한 실정이다.
서울시는 시내 구간거리는 12㎞, 서울 시외구간은 10㎞를 기준으로 기본요금 800원을 책정했으며, 중장거리의 경우 서울시내 구간은 6-12㎞마다 100원씩, 시외구간은 5-10㎞마다 100원씩 더 내도록 하는 대중교통 요금안을 최종 확정했다.
만약 수원에서 버스를 타고 사당까지 이동한 후 다시 지하철로 광화문까지 갈 경우 도에서 서울시계까지, 서울시에서 이동할 경우 요금에 대한 정산문제가 가장 큰 걸림돌로 작용해 왔다.
그러나 도는 시계구간의 요금정산에 대해 미온적인 태도를 보이면서 적자보전만을 주장하는 서울시와 합의점을 찾지 못해 독자운영에 들어가기로 최종 결정했다.
지하철 요금 800원 인상에 이미 합의한 인천시 역시 서울시민에 비해 7% 정도의 요금을 추가로 부담하는 것은 형평성에 어긋난다며 도와 함께 독자 운영에 들어가기로 최종 내부방침을 정했다.
한편 도는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24일 기자회견을 갖고 독자요금안, 버스업체 지원확대 방안, 신 교통카드 개발 등에 대해 구체적인 계획을 발표할 예정이다.
도 교통과 관계자는 “서울시가 도내 버스의 무료환승을 조건으로 정산요금을 서울시 버스 적자보전으로 사용할 것으로 줄곧 요구하고 있지만 결코 수용할 수 없다”며 “무료환승이 안될 경우 요금인상에 따른 주민들이 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해 버스업체 지원을 확대하고 교통카드나 정산방식을 독자적으로 마련해 주민혼선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할 방침”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