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하영 김포시장과 접경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주민들이 탈북민 단체가 진행하고 있는 대북전단 살포행위의 중단을 촉구하고 나섰다.
7일 시에 따르면 탈북민단체는 지난 5월31일 김포시에서 전단과 소책자, 달러, 메모리카드 등이 담긴 선전물을 북한에 날려 보냈다.
이에 북한노동당 김여정 부부장은 담화를 통해 대북전단 살포행위를 강력 비난했고, 금강산 관광 폐지, 개성공단 철거 등 남북 간 군사합의의 파기를 언급했다.
그러자 김포 접경지역 주민들은 지난 5일 김포시 월곶생활문화센터에서 정하영 김포시장과 긴급 모임을 갖고 ‘탈북민단체 대북전단 살포 중단 명령’을 발표했다.
이들은 “탈북단체가 어떤 이유와 변명을 하든지 접경지역에 살고 있는 우리는 어떤 형태의 긴장이나 갈등, 분쟁 등 주민의 안전을 위협하고 걱정과 염려를 하게하는 일체의 행위도 반대하고 부정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한국전쟁 이후 지난 70년간 한강하구를 경계로 북과 이웃해 살고 있는 우리는 단 하루도 맘 편히 살지 못하고 작은 땅덩이 한 조각, 쓰러져 가는 초막 하나 제대로 어쩌지 못하면서 이중 삼중의 규제로 불편과 피해를 고스란히 감내하면서 살아왔다”고 호소했다.
또 주민들은 “남북 정상 간의 합의로부터 시작된 접경지역에서의 평화와 협력은 그 지역에 살고 있는 주민들에게는 마지막 희망이고 생명줄이었다”며 “탈북민단체에서 접경지역 김포의 특수한 상황을 모두 무시하고 대북전단 살포를 계속할 것이라는 사실에 절망하고 분노한다”고 규탄했다.
그러면서 “대북 전단을 살포했거나 계획을 준비 중인 단체에 마지막으로 경고한다. 접경지역 주민의 생명과 재산을 위협하는 탈북민단체 대북전단 살포행위를 즉각 중단하라”며 “접경지역 안에서 대북전단 살포 등 북한을 자극할 수 있는 어떤 형태의 행위도 더 이상 허하지 않는다. 모든 수단과 방법을 동원해서 저지할 것”이라고 입장을 분명히 밝혔다.
시는 정부와 국회에 대북전단 살포금지와 이를 위반한 사람들을 처벌할 수 있는 내용의 법령 마련을 건의하고, 대북전단을 날리는 김포지역 주요 지점에 대한 사전 감시와 함께 시청 당직실에서 24시간 주민신고를 받기로 했다.
/김포=천용남기자 cyn5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