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금 운용 논란을 빚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지원시설 '나눔의 집(경기 광주시)'의 시설장이 교체됐지만, 시설 운영진과 내부고발 직원들의 갈등은 여전한 모습이다.
22일 나눔의 집에 따르면 사회복지법인 '대한불교조계종 나눔의 집'이 채용한 우모 시설장이 이날 처음 출근해 업무를 시작했다.
우 시설장은 사직 처리된 안신권 전 시설장과 업무 인수인계를 하는 과정에서 내부고발 직원들과 첫 대면을 하며 마찰을 빚었다.
내부고발 직원들을 대표하는 김대월 학예실장은 "새 시설장이 할머니들이 거주하는 생활관에 찾아와 법인 회계를 담당하는 내부고발 직원에게 생활관 외 다른 곳에서 일하라고 하고, 생활관 내에 자신의 책상을 요구하는 등 출근 첫날부터 갈등을 빚고 있다"고 말했다.
다산인권센터, 민주사회를위한변호사모임 등으로 구성된 '나눔의 집 사건 진상조사위원회'의 박진 활동가는 "신임 시설장은 조계종과 관련된 사회복지시설 송광·정심원의 원장 출신"이라며 "사태의 책임이 가장 큰 나눔의 집 법인 측이 신임 시설장을 내세워 오히려 갈등을 증폭시키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우 시설장은 "나눔의 집 시설을 책임지는 자리라서 생활관을 둘러보며 할머니들에게 인사를 드리고 현황을 파악했을 뿐"이라며 "나눔의 집 운영진과 직원들이 윈윈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우 시설장은 또 "송광·정심원 원장으로서 지침과 규정에 따라 정신장애인을 돌보는 업무를 수행했을 뿐이고 송광·정심원을 운영하는 법인에 대해서는 잘 알지 못했다"고 덧붙였다.
앞서 내부고발 직원들은 지난 19일 보건복지부, 여성가족부, 경기도 등에 민원을 내 "경찰 수사 결과나 경기도의 조사 결과가 나올 때까지 이번 사태의 가장 큰 책임이 있는 이사 승려들이 시설장을 채용하지 못하도록 해달라"고 요청했다.
이에 대해 법인 측은 "시설장 공모에 10명 이상이 지원했으며 새 시설장은 법인과 관련된 낙하산 인사가 아니다"며 "서류심사와 면접에는 한국사회복지사협회에서 추천한 인사위원도 참여하는 등 새 시설장 채용은 공정하게 이뤄졌다"고 반박했다.
나눔의 집에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 5명이 생활하고 있으며 김 학예실장 등 직원 7명은 나눔의 집 운영진이 막대한 후원금을 할머니들을 위해 사용하지 않고 현금과 부동산으로 적립해 노인요양사업에 사용하려 한다며 국민신문고 등에 민원을 제기하고 안 소장과 전 사무국장, 이사 승려 4명을 경찰에 고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