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내 제조업체 부족인력이 5만6천여명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됐다.
24일 경기개발연구원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도내 915개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현재 도 전체 제조업체 부족인력은 5만6천300여명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업종별로 보면 단순노무직이 2만9천700여명으로 가장 많고 다음이 생산기능직 1만4천600여명, 사무관리직 5천100여명, 기타 직종 6천700여명 순으로 부족인력이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인력 부족률은 단순노무직이 13.4%, 생산기능직이 8.3%, 사무관리직이 3.0%로 평균 9.5%를 기록했다.
시?군별 부족 인력수는 안산 8천600여명, 부천 5천700여명, 화성 4천300여명, 시흥 4천200여명 순이었으며 부족률 역시 안산시가 21.5%로 가장 높고 하남과 여주, 동두천 등이 20%대를 보였다.
중소기업들은 이같은 인력부족의 원인을 중소제조업에 대한 근무기피 현상(34.9%), 낮은 임금(28.6%), 작업환경 열악(17.9%) 등의 순으로 꼽았다.
또 이들은 인력부족을 해소하기 위한 정책지원으로 작업환경에 대한 국고보조, 고용촉진 장려금 확대, 외국인근로자 고용허가 확대 등을 희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연구원은 이같은 중소제조업체의 인력부족난 해소를 위해 외국 인력의 선별적 공급확대, 권역별 인력수요를 고려한 차별화된 인력양성체계 확립 등의 장단기 대책마련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