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 수돗물 때문에 한바탕 홍역을 치렀다. 시뻘건 물과 유충, 상상조차 할 수 없는 사태가 잇따르면서 수돗물에 대한 시민들의 신뢰는 바닥까지 추락한 실정이다.
인천시가 시민이 안심하고 마실 수 있도록 식품 수준의 위생적인 수돗물 생산체계를 갖추기 위해 본격 나섰다. 시설 및 생산 관리가 대폭 개선·강화된다.
시는 정수장 내 생물체 유입 원천 차단 및 위생기준 강화를 위한 식품경영안전시스템(ISO22000) 도입 등을 골자로 한 ‘수돗물 위생관리 종합대책’을 추진한다고 23일 밝혔다.
종합대책은 ‘전문가 합동정밀조사단’의 제안과 환경부 종합대책, 그동안 시가 발표한 재발방지 대책 등을 모두 포함하고 있다.
정수장 등 시설·운영 개선, 정수장 운영인력의 전문성 강화, 시민 서비스·소통 강화 등 3대 전략과 14개 중점추진사항으로 구성됐다.
우선 생물체의 정수장 유입, 서식과 유출을 원천 차단하기 위한 조치가 취해진다. 미세방충망, 에어커튼 등 차단시설을 보강·설치하고, 유입된 생물체를 퇴치하기 위해 충분한 양의 포충기를 설치할 예정이다.
또 생물체가 왕성히 활동하는 하절기 동안 활성탄 역세주기를 단축하면서 최적의 역세척주기에 대한 연구를 병행하는 등 활성탄지의 운영개선을 위한 자체 고도정수처리시설 운영 매뉴얼을 새로 정비하기로 했다.
선진국 기준의 위생적인 수돗물 생산을 위해 국제표준 규격인 ISO22000을 도입한다. 이를 통해 안전성 점검과 위생관리 과정에 식품공장 수준의 위해요소 차단 시스템을 구축하는 한편 정수처리 공정의 일상·정기점검 및 위생상 조치를 강화해 나갈 방침이다.
시는 이와 함께 상수도 운영인력의 전문성도 강화한다. 정수시설운영관리사와 정수공정별 전문자격 보유 인력을 정수장에 우선 배치하고, 운영인력 보강을 위해 시설관리직류를 신설·채용해 내년 2월까지 배치할 예정이다. 직원들의 전문성을 증진하기 위한 교육도 대폭 늘린다.
시민 서비스와 소통채널 다양화를 통한 시민 중심의 수돗물 서비스 행정에도 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다. 가정방문 무료 수질검사, 안전한 수돗물 음용방법과 수질에 대한 정보 제공, 내시경장비를 이용한 옥내배관 진단과 노후배관 개량 지원사업 등을 컨설팅 하는 인천형 워터케어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
홈페이지, 언론, 지역커뮤니티(맘카페) 등에 수돗물 정책과 운영상황을 널리 알리고 민원에 신속히 대응하는 등 수돗물에 대한 시민 불안을 적극 해소할 방침이다.
박영길 시 상수도사업본부장은 “무엇보다 안전한 수돗물을 생산해 시민들의 신뢰를 회복하는 것이 최우선 과제”라며 “수돗물 위생관리 종합대책을 차질 없이 추진해 생산체계를 위생적으로 개선하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 경기신문 / 인천 = 박영재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