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항이 오는 2030년까지 ‘환황해권 첨단물류·고품격 해양문화관광 거점항’으로 집중 육성되고 이를 위한 시설 개발에 총 3조4813억 원이 투입된다.
또 컨테이너물동량도 지난해 309만TEU에서 422만TEU로 도약, 전국 2위 항만으로서의 위상을 굳건히 할 것으로 전망됐다.
인천지방해양수산청과 인천항만공사는 2021~2030년 인천항을 포함, 정부가 10년 단위로 전국 항만개발 및 정책의 밑그림을 제시하는 ‘제4차 전국항만기본계획’이 국무회의에 상정·보고됐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기본계획에 따라 인천항은 ‘환황해권 첨단물류·고품격 해양문화관광 거점항’으로 육성된다. 이와 관련, 2021~2030년 접안시설 6선석(컨 3, 국제여객 2, LNG 1)과 외곽시설 8.443km, 항만배후단지 586만5000㎡, 도로 8.4km 등이 개발되며 재정 2조213억 원, 민자 1조4600억 원 등 총 3조4813억 원이 투입된다.
‘환황해권 컨테이너 거점항’으로 특화 개발되는 인천신항에는 컨테이너부두 1-2단계(1050m) 개발과 함께 남항과 신항 일대에 신규 항만시설용부지 1844만4000㎡가 공급된다. 또 배후교통망 개선을 위해 현재 6차선인 신항 진입도로가 8차선으로 확장되고, 일부 구간은 지하차도(4.3km)화된다.
정부는 이와 함께 인천 남항 및 연안항 일대 항만시설을 대대적으로 정비, 부두 사용자의 안전을 확보하기로 했다. 수제선 보강, 물양장 매립, 소형선 계류지 확충, 신규 예부선계류지 확보, 관리부두 신설 등의 사업을 진행한다.
인천항 컨테이너 물동량은 2019년 309만TEU에서 2030년 422만TEU 수준으로 약 110만TEU 이상 도약하고, 연평균 2.9% 수준의 성장률을 기록하면서 전국 2위 항만의 지위를 더욱 공고히 할 것으로 전망됐다.
홍종욱 인천해수청장은 “제4차 항만기본계획을 기준으로 인천항의 경쟁력과 효율성을 높이고 배후산업, 해양관광, 재개발, 환경, 안보 등 항만 공간 및 기능에 대한 다양한 수요를 적기에 반영하기 위해 물동량 추이와 해운, 항만여건의 변화에 따라 유연하게 인천항을 발전시켜나가겠다”고 밝혔다.
최준욱 인천항만공사 사장은 “급변하는 인천항 이용자의 항만활동 수요에 대응하고 효율적 물류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항만시설 개발 및 기능재배치에 박차를 가하겠다”고 밝혔다.
[ 경기신문 / 인천 = 박영재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