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구의회 일부 의원들이 인천시의 검단지역 개발행위허가제한에 반대하는 성명을 발표하고 있다. [ 사진 = 서구의회 제공 ]](https://www.kgnews.co.kr/data/photos/20210205/art_16125909019694_bf856d.jpg)
난개발 우려와 노후원도심 개발을 두고 인천시와 지역 간 입장이 팽팽히 맞서고 있다.
인천시 서구의회 일부 의원들은 5일 성명을 내고 '인천시의 서구 북부권 검단지역 일원의 개발행위허가제한에 대해 반대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성명에는 김명주, 이순학, 심우창, 정진식, 강남규, 정영신, 최은순 의원 등이 참여했으며 시가 지역주민들의 의견수렴 등 사전 공감을 하지 않고 개발행위허가제한 계획을 독단적으로 추진한 것에 대해 강한 유감을 표했다.
심우창 의원은 "검단신도시 2지구의 지정취소로 인해 십수 년 간 재산권 행사를 침해당했던 아픔이 있었는데, 이번에도 검단 지역민의 일방적인 희생을 강요하려는 시의 계획은 반드시 철회되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시가 인천 내 원도심에서 검단으로 인구 이탈이 가속화될 것을 예상하고 개발행위허가를 제한한다는 방식의 사고는 공간적 범위를 인천으로 한정, 즉 인구의 ‘제로섬 게임’으로 인식함에 따른 오류라고 할 수 있다"며 "시는 수도권 및 전국에서 인천으로 인구가 유입될 수 있도록 검단지역의 더 매력적인 발전 방향에 대해 고민해야 할 때"라고 반박했다.
이들 의원들은 "검단지역에 종합적이고 구체적인 개발과 관리방안의 수립이 전제돼야 하며 지금이 오히려 기존의 무분별한 개별적 개발행위를 일시에 정리할 기회임을 인지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또 강남규 의원은 “그간 환경피해를 본 사월마을 70여 가구 주민들의 이주 대책, 폐기물업체의 정비, 폐기물과 하수처리시설 마련 등 시의 시책추진이 필요한 상황인데 검단지역 개발행위허가제한 계획은 결코 해법이 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성명에 참여한 의원들은 시가 시·구의회뿐만 아니라 주민대표와 시민단체 등이 충분히 공감할 수 있는, 소통과 협의 과정을 통해 ‘북부권 종합발전계획’을 수립해야 하며 구체적인 재원 조달 및 지원 등의 방안 역시 시가 적극적으로 마련해줄 것을 주문했다.
[ 경기신문 / 인천 = 박영재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