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와 옹진군은 국토교통부가 주관한 PAV 특별자유화구역 지정 공모에 최종 선정됐다고 13일 밝혔다.
PAV(Personal Air Vehicle)는 지상과 공중의 교통망을 이용해 이동할 수 있는 미래형 개인 운송기기다. 스마트폰으로 부르면 공상과학 영화처럼 도로 위를 떠서 자율비행 방식으로 개인이 집에서부터 목적지까지 ‘도어 투 도어’로 이동할 수 있는 차세대 운송수단이다.
그러나 실제 실증에 이르기까지 거쳐야 하는 절차와 규제들이 많아 관련 기업들이 많은 불편을 겪어 왔다. 이에 따라 국토부는 관계 법령이 지난해 5월 시행된 이후 드론택시, 배송 등 관련 서비스 산업을 육성하고자 PAV 특별자유화구역 지정 공모를 추진해 왔다.
이와 관련, 시는 옹진군과 협력해 지난해 6월 PAV 테스트베드의 최적지로 자월도-이작도-덕적도 해상을 선정·신청했고 엄정한 평가 과정을 거쳐 이번에 특별자유화구역으로 최종 선정되는 성과를 거뒀다.
이곳에서는 PAV 기체의 안전성을 사전에 검증하는 특별감항증명과 안전성 인증, PAV 비행 시 적용되는 사전 비행승인 등의 규제가 면제되거나 완화돼 5개월 이상의 실증기간이 단축될 것으로 기대된다.
시는 PAV를 미래 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2018년 정부가 공모한 PAV 핵심기술개발 과제 선정을 시작으로 그간 많은 노력을 해왔다.
2019년 6월 전국 최초로 관련 조례를 제정한데 이어 지난해 8월에는 PAV 특별자유화구역 선정을 위해 옹진군, 인천테크노파크 등 관련 기관들과 함께 ‘인천 PAV 실증화 지원센터’를 자월도에 조성하는 업무협약을 체결한 바 있다.
현재 실내에 기체 지상시험 시설을 구축해 테스트가 진행 중이며, 야외 비행시험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되면 오는 11월 PAV 특별자유화구역으로 지정된 자월도 상공에서 실증 비행을 시작할 예정이다.
시는 특히 이미 PAV 시제기를 개발해 이륙단계에 있는 실증 기체를 보유하고 있는 만큼 사실상 현 시점에서 PAV 실증사업을 추진할 수 있는 지방정부는 국내에서 유일하다고 설명했다.
PAV 특별자유화구역 지정으로 PAV를 미래 먹거리산업으로 육성하려는 계획에 더욱 박차를 가할 수 있게 됐으며 도서지역의 긴급구호 및 물품배송, 관광상품 개발 등 다양한 PAV산업 서비스가 창출되면 시민 편의와 삶의 질 향상에 크게 기여하는 것은 물론 향후 이동의 혁명 및 MaaS(Mobility as a service) 시대를 인천의 PAV로 촉발시킬 것으로 시는 기대하고 있다.
[ 경기신문 / 인천= 윤용해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