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달 파주에서 발생한 버스 뒷문 끼임 20대 승객 사망 사고 원인이 손 혹은 팔 끼임으로 결론 날 전망이다. 부피가 작은 옷 등이 꼈는데도 작동하지 않은 감시 센서, 문에 끼인 승객을 매달고 급출발한 버스 등 문제가 드러났고, 정부가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파주경찰서는 숨진 20대 승객 A씨 손 부분이 껴 사고가 일어난 것으로 판단, 교통사고처리 특례법 위반 혐의로 60대 버스기사 B씨를 검찰에 송치할 예정이라고 14일 밝혔다.
경찰은 A씨 손에서 문에 꼈을 때 난 것으로 보이는 상흔을 발견했으며, 버스 내부 CCTV 영상 분석을 통해 버스 안쪽으로 손을 뻗는 것으로 보이는 장면을 확보했다. 버스 외부에서는 A씨가 문에 손 부분이 끼인 채로 움직이는 버스를 따라 달리다 넘어지는 화면도 있었다.
다만, CCTV 화면은 어둡고 화질이 안 좋아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 화질을 높여 화면을 분석해달라고 요청했지만 유의미한 결과는 얻을 수 없다는 회신을 받았다.
경찰 관계자는 “버스에서 내린 뒤 하차 태그를 하기 위해 손을 뻗었을 수 있어 보이지만 피해자가 숨져 이 부분은 확인할 수 없다”고 말했다. 실제 하차 태그 기록은 없었다.
시내버스 뒷문에 센서가 있었지만 작동하지 않았다. 경찰은 사건 후 장우산으로 실험을 했지만 문에 상당한 압력을 가하지 않으면 센서가 작동하지 않는 것을 확인했다.
해당 버스기사는 승객이 내린 것을 확인하고 버스를 출발했다고 경찰에 진술했다.
유족들은 청와대 국민청원을 통해 원인 규명과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유족들은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 “한 번의 확인, 내린 뒤 3초의 기다림만 있었더라도 이런 억울하고 허망한 죽음은 없을 거라고 생각이 든다”면서 “버스기사 안전교육 강화, 승하차 센서 개선, 승하차 때 타고 내릴 수 있는 안전한 시간 확보 등을 청원한다”는 내용의 글을 올렸다.
14일 오후 1시 현재 3만4754명이 서명을 통해 공감하며 그간 버스 하차 때 아찔한 경험을 공유했다.
사건을 계기로 정부와 지자체가 대책 마련에 나섰다. 국토교통부는 버스 안전장치 작동 상태를 일제 점검하고 운송업자에 대한 지도 점검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경기도는 안전등급 하위 업체 노선 신설 및 증차를 제한하고 중대사고 유발업체는 인센티브 재정지원금을 50% 삭감하는 등의 페널티를 부여할 계획이다.
감독·처벌과 운전자 교육도 중요하지만 버스 내 안전장치, 운행 시스템 개선 등 근본적인 개선책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이에 한국교통안전공단 관계자는 “현장 목소리를 반영하고 문제를 분석해 단순 점검 차원이 아닌 효과적인 대책을 마련할 수 있도록 관계 부처가 논의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 경기신문 / 파주 = 최연식·김기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