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기 신도시인 남양주 왕숙지구 개발에 경기주택도시공사(GH)도 참여시켜 믿을 수 없는 한국토지주택공사(LH)의 독점을 막아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15일 남양주지역 시민단체인 '다산신도시 총연합회'는 “3기 신도시 남양주 왕숙 지구의 사업시행자 지분은 LH가 99%, 남양주도시공사 1%, 경기도는 행정 지원을 할 뿐”이라며 "다산신도시와 광교신도시 등 경기도 대형 택지개발을 주도해온 GH공사가 남양주 왕숙지구 사업에 참여해 LH의 독주를 견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단체는 "GH는 다산신도시 조성 사업을 시행하면서 주민 의견을 반영, 북부간선도로 방음터널과 전국 6위 규모인 정약용 도서관 건립에 수백억원을 투입하는 등 생활 인프라를 확충했다"며 참여 필요성 등을 설명했다.
지난해 3월 이재명 경기도지사와 조광한 남양주시장, 이헌욱 GH사장은 다산신도시 개발 이익 4천330억원을 지역에 재투자하는 내용의 협약을 맺기도 했다.
이진환 다산신도시 총연합회장은 “주거용시설 건설에만 급급하고, 기반시설과 자족시설이 부족한 개발방식은 사라져야 한다. 지역에 걸맞는 개발과 지역발전을 위한 개발이익의 재투자를 위해 GH의 사업 참여는 필수"라고 강조했다.
[ 경기신문 /남양주= 이화우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