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청 회의실에서 10년 단위 장기 토양보전계획 보고회가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되고 있다.[사진=인천시 제공]](https://www.kgnews.co.kr/data/photos/20210312/art_16164735376865_4c6e3f.jpg)
인천시는 토양오염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10년 단위 토양보전계획(2021-2030)을 수립했다고 24일 밝혔다.
현재 인천에는 오염토양 정화가 진행되고 있는 부평 캠프마켓, 문학산 송도역재개발지역, 용현학익1블럭을 비롯, 오염정화 문제로 소송중인 송도테마파크 부지 등 토양오염 현안지역이 곳곳에 있다.
특히 수도권매립지, 비위생매립지, 위험물취급시설 등 잠재 오염원이 1만 1039개소로 석유류 제조 ․ 저장 ․ 취급시설 1379개소, 송유관 13개소 등 석유류관련시설과 15개의 산업단지가 다수 위치하고 있어 토양오염 관리방안이 시급한 실정이다.
토양오염 실태조사에 따르면, 인천지역 총 539개소 중 17개소가 아연, 구리, 납, 니켈 등 중금속항목을 초과해 향후 실태조사 범위 확대와 심토 조사 등 조사방법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시는 토양환경 여건 및 토양오염 현황을 면밀히 분석하고 인천 토양오염 특성을 파악하여 그에 따른 전략별 추진과제 및 실행방안을 도출하는 데 중점을 두고 사전예방 및 오염지역의 체계적 관리를 위한 중점 추진과제와 실행방안을 수립했다.
주요사항을 보면 첫째, 토양 전담관리 조직을 구성하는 한편 토양지하수 정보를 연계관리하고 토양오염원 및 정화지역 DB 구축 등 오염토양을 체계적으로 관리한다.
둘째, 오염토양 조사 및 관리의 고도화로 매립지, 산업단지, 군부대, 지하수오염지역 등 취약지역 토양오염 조사 및 관리를 강화하고 토양오염 실태조사 내실화 및 오염토양 정화, 노후주유소에 대한 관리를 강화한다.
이밖에 매립지역 주변 토양배경 농도 조사, 사후 모니터링, 환경거버넌스 구축을 위한 토양정보 콘텐츠 개발, 토양환경자문단 기능 확대 등 10년간 927억을 투입하여 오염된 토양을 정화하는 등 다양한 토양보전시책을 추진할 계획이다.
서용성 시 생활환경과장은 “앞으로 시는 환경부 승인과정을 거쳐 토양보전계획을 확정하고 연차별 토양보전 실행방안을 차질 없이 수행할 것" 이라며 "이번 수립된 장기계획을 통해 시민건강보호 및 녹색성장을 위한 토양환경조성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인천 = 박영재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