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는 인천경찰청과 함께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야간골목길 안전시스템 구축사업’을 완료했다고 22일 밝혔다.
이 사업은 지난해 행정안전부 주관 ‘2020 자치단체 협업 지원사업’에 선정돼 특별교부세 3억 원을 지원받아 추진해온 것으로, 22일 여중협 시 기획조정실장 주재로 인천경찰청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완료보고회를 열었다.
시는 지난 5개월 동안 협업기관인 인천경찰청과 지역기업인 ㈜모토브와 함께 민간 보유 데이터(조도, 유동인구 등)와 기관 보유 데이터(112 신고데이터, 가로등·CCTV 위치 데이터 등)의 융합·분석한 결과를 기반으로 순찰 우선순위를 추천해주는 시스템을 구축했다.
이 시스템의 주요 기능은 일부 섬지역을 제외한 인천 전역을 100m×100m 크기의 11만3000여 개 격자로 나누어 그 위에 수집한 각종 데이터를 위치 기반으로 매핑한 뒤 인공지능 기반 알고리즘을 통해 학습시키고, 이를 토대로 신고가 많이 발생하는 지역을 격자기준으로 예측해 순찰 우선순위를 행정구역 및 경찰 관할 구역별로 제공하는 기능이다.
취약지역인 격자를 선택하면 조도, 유동인구, 112 신고유형, 가로등, CCTV 등 그 지역의 특성을 알 수 있는 수집된 정보들을 확인할 수 있다. 또 이를 통해 시와 경찰은 범죄예방 환경설계(CPTED)구역 선정에 활용하고 취약지역에 경찰 행정력을 집중하는 등 데이터기반 행정을 본격화할 예정이다.
여중협 시 기획조정실장은 “민·관이 보유하고 있는 다양한 데이터의 인공지능 분석을 통해 새로운 정책을 발견하고, 우리시에 적용하는 이번 사업을 앞으로 경찰과 함께 인천만의 특별하고 스마트한 치안정책으로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말했다.
김난영 인천경찰청 생활안전과장은 “시민 안전을 책임지는 시와 경찰이 협업으로 추진한 이번 사업이 시민의 안전체감도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시는 5월 중 안전시스템 시범운영을 시작할 계획이다.
[ 경기신문 / 인천 = 박영재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