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무소속 홍준표 의원의 복당 추진에 국민의힘 지도부가 사실상 ‘침묵’으로 일관하고 있다.
13일 정치권에 따르면 국민의힘 중앙당에 홍 의원의 복당 신청서가 접수된지 3일이 지났지만 복당 절차가 진행되지 않고 있다.
홍 의원의 복당 신청서가 지난 10일 접수된 후 처음 열린 이날 비대위원회 회의에서 홍 의원 복당 문제는 거론되지 않았다.
이날 회의에 참석한 한 비대위원은 “홍 의원 건은 언급조차 되지 않았다”며 “현 비대위 임기 내에 복당 문제는 진행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동안 홍 의원의 복당에 우호적인 입장을 피력해온 김기현 국민의힘 당대표 권한대행 겸 원내대표조차도 최근 현안의 우선순위를 들어 언급을 자제하는 모습이다.
김 권한대행은 홍 의원의 복당에 관해 “시급한 현안을 처리하고 절차에 따라 차차 논의할 기회가 있을 것”이라며 입장표명을 유보하고 있다.
이에 정치권 일각에서는 현 지도부가 임시 체제인 만큼 차기 지도부에 홍 의원의 복당 문제를 일임하려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인사청문회, 원구성 재협상 등에서 원내 결속이 절실한 마당에 홍 의원 문제는 6월 전당대회 이후로 미루는 게 낫다는 판단이다.
더욱이, 국민의힘 일각에서 홍 의원 복당은 당 쇄신과 중도 확장에 걸림돌이라며 반대 의견을 강하게 피력하고 있다는 점이다.
국민의힘 한 초선의원은 “홍 의원이 당에 들어와서 대선 경선하면 윤석열·안철수 등과 욕하며 치고 받을 것”이라며 “증도층이 떨어져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게다가 홍 의원의 복당을 기점으로 당이 우클릭하는 인상을 준다면, 중도 노선을 걸을 것으로 예상되는 윤석열 전 검찰총장이 국민의힘 입당이 사실상 물 건너간다는 우려다. 사실상 윤 전 총장 이외 유력한 대권주자가 없는 형국인 만큼 윤 전 총장의 눈치를 볼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는 것이다.
이처럼 홍 의원의 복당을 두고 당안팎 인사들의 셈법이 다르기 때문에, 홍 의원 복당의 키를 쥔 지도부가 결정을 미루고 있다는 게 정치권의 지배적인 시각이다.
정치권 관계자는 “김기현 원내대표로선 인사 청문 정국과 상임위원장 탈환 등의 과제가 산적한 상황에서 당내 반발을 부를 수 있는 홍 의원의 복당을 굳이 빠르게 처리할 필요가 없을 것”이라며 “차기 지도부로 폭탄을 돌리는 모습”이라고 평가했다.
[ 경기신문 = 정영선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