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30 (화)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채소값 고공행진 대안은 ICT 결합한 스마트팜(?)

채소값↑, 폭염·수해 등 외부 요인 커
스마트팜 각광, 재배면적 매년 확장세
아직은 노지 채소보다 비싸…투자비 부담도
“과잉생산으로 부농-빈농 격차 늘릴 것”

 

최근 채소가격의 가파른 상승에 생산 환경을 통제할 수 있는 스마트팜이 주목받고 있다. 반면 스마트팜 설비 비용 부담 및 고령층 자영농의 경쟁 도태란 부작용도 발생할 것으로 보인다.

 

5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 따르면 지난 4일 kg당 소매가 기준 토마토는 4344원으로 전월대비 767원, 평년대비 808원, 깐마늘은 kg당 1만2134원으로 전월대비 620원, 평년대비 2843원, 고춧가루는 3만9216원으로 전월대비 1215원, 평년대비 6367원 더 비싸졌다.

 

채소값의 고공행진 이유 중 가장 큰 요인은 자연재해 등 외부요인으로 인한 가격 상승이 대표적이다. 올해 기록적인 수해와 폭염 등 이상 기후 현상으로 작황에 큰 타격을 입혔다.

 

이 때문에 외부요인을 통제할 수 있는 스마트팜이 농가와 식품업계에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스마트팜은 IoT(사물인터넷)을 이용해 실내에서 농작물을 체계적으로 재배하는 지능화 농장이다. 특히 계절 요인의 영향 없이 실내에서 집약적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해, 채소 등 원예 부문에서 대표적인 신산업으로 인기를 모은다.

 

스마트팜코리아에 따르면 2013년 345ha(헥타르)이던 스마트팜 시설원예 온실면적은 2017년 4010ha까지 치솟다 2019년 기준 5017ha까지 확장됐다. 스마트팜 시설을 설치한 농가 호수도 지난해 기준 606호로 수도권 52호, 영남 190호, 충청 119호, 호남 245호를 각각 차지했다.

 

경기도의 경우 대표적으로 팜에이트(Farm8)와 그린플러스가 평택에서 스마트팜 사업을 일구고 있다. 전체 스마트팜 호수 중 수도권 비중은 적으나, 타 시도 대비 높은 채소 수요와 위치상 이점을 갖고 있어 향후 사업 확대의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점쳐진다.

 

한 식품 대기업 관계자는 “원재료 조달 측면에서 볼 때 원재료 수급처가 다양할수록 좋다. (조달처가) 한정돼있을수록 재해 등 외부 변수에 취약해 가격 급등 대응이 어려워진다”며 “현재로선 스마트팜 생산 물량 자체가 아직 적다. 발전 가능성은 높으나 개선돼야할 점이 많다. 미래에 경제적 가치를 가지려면 사업화에 대한 깊은 염두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반면 스마트팜 채소 산업이 아직은 과도기 시기라 일반 노지에서 생산된 채소보다 가격이 비싼 경우도 나온다. 모 스마트팜 업체 관계자는 “투자·관리비 때문에 스마트팜 채소 생산에 투입되는 비용이 아직은 노지 생산 채소보다 격차가 있다”고 전했다.

 

이종원 국립한국농수산대학 원예환경시스템학과장은 “스마트팜을 통한 식품 수급 문제 및 생산 기여는 분명하다”며 “지난해 7~8월의 경우 일조량 저하로 과실 당도가 떨어졌다. 스마트팜이 보편화 됐다면 품질 향상 및 기후변화로 인한 생산량 저하도 완화시킬 부분이 크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스마트팜 생산자의 초기 시설비 투자 부담은 크나 향후 대량생산으로 소비자 부담은 적어질 것”이라며 긍정적이라 분석했다. 반면 “오히려 과잉생산으로 인한 농산물 가격 저하 및 이로 인한 부농과 빈농, 스마트팜 청년농과 고령층 자영농간 소득 격차가 클 것”이라고 채소 농가에 대한 향후 전망을 내놨다.

 

[ 경기신문 = 현지용 기자 ]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