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10년 이상 지난 영구임대주택에 대한 시설개선이 이뤄짐에 따라 저소득층 주민들의 주거환경이 대폭 개선된다.
5일 도에 따르면 도는 건설한 지 10년이 경과한 영구임대주택을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벌인 결과 성남, 부천, 수원 등 8개 지역 1만3천136세대를 대상으로 주거환경을 개선한다.
도는 단지내 사회복지관, 체육시설, 주차장 등 주민편익시설 개·보수를 위해 총 81억6천만원의 예산을 확보하고 연내 사업을 마무리지을 방침이다.
도는 우선 성남 목련마을 1단지(1천240세대)에 3억9천만원, 한솔마을 7단지(1천420세대)에 6억1천만원, 청솔마을 6단지(1천250세대) 9억3천만원 등 총 19억3천만원을 지원해 주차장을 확대하고 사회복지관을 보수한다.
또 부천 중동한라(925세대) 2억8천만원, 중동덕유(956세대) 4억7천만원, 춘의(976세대) 2억7천만원 등 10억2천만원이 투입된다.
이어 광명 하안 13단지(2천66세대)에는 18억7천만원, 수원 우만3단지(1천213세대)에 13억2천만원, 의정부 장암1단지(1천122세대) 4억5천만원이 각각 지원돼 주거환경 개선이 이뤄진다.
이들 8개 지역 12개 단지 내 주택들은 지난 90년부터 94년 사이 정부가 공급한 기초생활보장수급자를 위해 공급한 7-12평형으로 시설이 노후해 시설개선이 필요한 상황이다.
도는 단지별로 노인정, 쉼터 등의 사회복지관과 체육시설을 조성하고 주차장 면적을 확대키로 하고 수요파악을 완료했다.
한편 도는 이번 노후 영구임대주택 지원사업에서 제외된 주택과 50년 공공임대주택에 대해서도 실태조사를 벌여 사업을 확대할 방침이다.
도 고위 관계자는 "그동안 수익위주의 민간분양 아파트 위주로 주택정책이 펼쳐져 상대적으로 임대주택 저소득층 주민들은 소외돼 왔다"며 "이번 시설 개선사업을 통해 주거환경을 대폭 향상시키는 한편 앞으로도 임대주택 주거환경을 확대 추진해 나갈 방침"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