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16 (일)

  • 맑음동두천 18.1℃
  • 맑음강릉 20.3℃
  • 박무서울 20.9℃
  • 맑음대전 20.0℃
  • 박무대구 21.6℃
  • 박무울산 20.0℃
  • 맑음광주 22.3℃
  • 박무부산 21.6℃
  • 맑음고창 20.9℃
  • 맑음제주 23.2℃
  • 맑음강화 17.6℃
  • 맑음보은 18.7℃
  • 맑음금산 19.9℃
  • 구름많음강진군 22.9℃
  • 구름조금경주시 20.6℃
  • 맑음거제 21.2℃
기상청 제공

KT 통신 마비 사태, 업계 “정확한 원인 해명해야”

25일 전국 KT 유·무선 인터넷, 40분 넘게 ‘먹통’
국내 망 점유율 40%, “테러 아니고선 납득 어려워”
KT 해명 번복…“이윤치중 결과, 대충 넘어가선 안돼”
“내부자 양심고백뿐…과기부 모니터링·파악 개선해야”

 

KT 통신대란에 대해 업계는 “KT의 구체적인 원인 해명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지난 25일 오전 11시 20분 KT 인터넷 유·무선 통신이 전국적으로 마비되는 먹통 사태가 발생해, 40분 넘게 내비게이션·뱅킹·병원·결제시스템 이용이 불가능해져 혼란이 불거졌다.

 

여기에 KT는 사건 발생 즉시 “대규모 디도스 공격”을 원인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KT의 서비스 장애”라 반박하자, 이후 “라우팅(Routing) 경로 오류로 인한 트래픽 쏠림”이라고 말을 바꿔 논란을 더욱 키웠다.

 

라우팅은 라우터로 인터넷 망을 지나는 통신 데이터를 최적 경로로 나눠 다른 망으로 보내주는 작업이다. KT의 해명은 이 작업이 관리 소홀로 동시다발적 데이터 트래픽 병목현상이 발생해 전국적인 통신망 마비를 일으킨 셈이 됐다.

 

이와 함께 KT는 국내 전체 유선통신망 중 40%를 점유하고 있어, 피해가 2018년 서울 KT 아현지사 화재처럼 국지적인 수준이 아닌 전국에서 발생하게 됐다.

 

이렇듯 통신업계는 이번 사태가 국방·의료까지 마비될 수 있는 심각성을 감안해, 단순 사과 수준이 아닌 구체적인 해명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한 통신업체 관계자는 “EMP(전자기펄스) 테러나 신종 디도스(DDOS) 공격 의심이 들었다. 그렇지 않고선 내부의 ‘사이버 사보타주(sabotage, 비밀 파괴공작)’ 수준인 전국단위의 통신망 마비에 대한 설명이 안된다”고 말했다.

 

모 인터넷 관련 시민단체 관계자는 “위험한 점검은 보통 한밤중에 함에도 한낮에 한 것은 납득하기 어렵다”며 “컴퓨터 쪽은 문제 발생 시 즉각 확인할 수 있었음에도 40분 넘게 전국적으로 통신 마비가 계속됐다”고 말했다.

 

이어 “지난 4월 KT 인터넷 속도조작 의혹으로 이윤에만 치중한 KT의 태도가 드러났듯, 이번 사태도 KT가 망 투자·점검을 소홀히 한 결과”라며 “백본(backbone, 기간망) 네트워크·서버 엔지니어 등 내부자의 양심고백이 없다면, KT는 정확한 원인 해명 없이 넘어가고 향후 말바꾸기 해명을 반복할 것”이라 강조했다.

 

강휘진 서강대학교 ICT융합재난안전연구소 교수는 “현재로선 KT 라우팅 서버 관리 엔지니어의 실수일 가능성이 크다. 관련 소프트웨어 운영은 최소 고급·특급 엔지니어만 다룰 수 있다”며 “전국적인 통신-블랙아웃(대정전)이 발생한다면 은행의 경우 문을 닫을 수 있는 등 산업 하나가 사라질 정도의 큰 재난”이라 평가했다.

 

강 교수는 “미국은 정부차원으로 통신망 내 테러 정보 추적이 가능할 정도로 관리하고 있으나, 한국은 정부가 문제를 미리 알고 나서지 않는다”며 “과기부의 ‘주의’ 경보 발령 등 대응은 잘했으나, 먼저 모니터링하고 미리 파악하는 체계 개선이 필요하다”고 비판했다.

 

한편 구현모 KT 대표는 26일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서비스 고도화를 위한 최신 설비 교체작업 중 발생한 네트워크 경로설정 오류가 원인”이라며 사과문을 올렸다. 하지만 어떠한 경위로 해당 작업을 실행했는지 등 구체적인 내용에 대한 해명은 더해지지 않았다.

 

[ 경기신문 = 현지용 기자 ]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