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로나19 장기화 대응을 위한 방안으로 ‘빅데이터’가 활용돼야 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경기연구원은 17일 ‘감염병 장기화 시대, 유동인구 빅데이터를 활용해야 한다’ 보고서를 발간하고 전국 코로나19 확진자의 70~80%가 수도권에서 집중되고 있어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정확하고 신뢰성 높은 대응 정책이 제공돼야 한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정책 수립의 근거를 데이터로 투명하게 보여줘 정당성을 확보하고, 이를 기반으로 국민의 신뢰를 얻는 동시에 세분화된 거리두기로 경제적 손실을 낮추자는 의미”라고 부연했다.
그동안 높은 인구 밀집도와 지역 간 이동 빈도 때문에 비수도권보다 수도권에 더 강한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가 시행돼 왔다.
또 사회적 거리두기로 국민의 피로도가 높아지고 경제적 손실이 누적됨에 따라 정부의 방역 정책 수립 시 경제·자유·방역이 상충해 ‘딜레마’를 넘어선 ‘트릴레마’ 상황이 이어지는 상황이다.
김영롱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코로나19 위기로 인해 일상생활에서 다양한 근무 형태 및 이동 패턴의 실험을 했고 이는 고스란히 빅데이터로 남았다”며 “지난 2년간 다양한 정책에 대한 면밀한 분석 및 정책 사후 평가를 거쳐야 향후 수립될 빅데이터 기반 정책의 정확성과 신뢰성이 더욱 높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 경기신문 = 김혜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