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민이 하루 평균 사용하는 일회용품은 2.13개인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는 26일 도민 1000명 대상으로 ‘일회용품 사용 실태 및 인식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결과에 따르면 도민들이 하루 평균 사용하는 일회용품 2.13개중 평소에 자주 사용하는 일회용품으로는 ▲일회용 비닐봉투 및 쇼핑백(70%) ▲종이·플라스틱 등 일회용 컵(52%) ▲일회용 나무젓가락(34%) ▲종이·플라스틱 등 일회용 접시 및 용기(22%) 순으로 나타났다.
도민 절반(50%)은 일회용품 사용량이 코로나19 이전과 비슷하다고 응답했다. ‘사용량이 늘었다’는 전체 36% 가운데 특히 30대와 40대는 각각 49%, 47%로, 코로나19 이후 일회용품 사용량이 ‘늘었다’는 답변이 ‘비슷하다’보다 더 높았다.
이러한 일회용품 사용 추세를 놓고 도민 95%는 불편을 감수하더라도 환경오염 등을 고려해 ‘일회용품 사용을 현재보다 줄일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일회용품 사용을 줄일 의향이 없다는 도민은 4%에 그쳤다.
이와 관련해 일회용품 사용 규제가 가장 시급히 적용돼야 하는 제공처로 음식 판매업체(28%)와 커피·음료 판매업체(24%)를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편의점 등 유통업체(14%), 장례식장 등 경조사업체(14%)가 뒤따랐다.
경기도 공공배달앱 ‘배달특급’의 다회용기 시범사업 경기도 전역 확대 필요성에는 도민 전체 72%가 공감했다. 다회용기 시범사업이란 ‘배달특급’과 연계해 소비자가 음식을 먹고 난 후 배달에 사용된 다회용기를 내놓으면, 전문업체가 수거하고 위생적으로 세척해 다시 음식점에 공급하는 사업이다. 지난해 7월부터 화성 동탄1·2신도시에서 시범적으로 시행하고 있다.
엄진섭 도 환경국장은 “다회용기 사용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을 바꾸고, 관련 법제화를 이끌어 내 민간 배달앱까지 다회용기 사용이 확산하기를 바란다”며 “올해 다회용기 시범사업 대상에 용인 수지를 추가하는 등 사업을 점점 확대할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이번 조사는 경기도가 여론조사기관인 ㈜케이스탯리서치에 의뢰해 지난해 10월30일 만 18세 이상 도민 1000명을 대상으로 전화조사방식으로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오차 ±3.1%p다.
[ 경기신문 = 김혜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