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6 (월)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가정해체 현상이 급격히 가속화됨에 따라 위기가족 관련 상담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정부 시책으로 추진하고 있는 SOS상담전화가 준비 부족과 운영 미숙으로 무용지물이 되고 있다.
더욱이 일선 지자체의 홍보 소홀로 이용률이 극히 저조한데다 전문 인력 부재로 효율적인 상담이 제대로 이뤄지지않아 전시행정이라는 지적마저 일고 있다.
22일 일선 지자체와 시민들에 따르면 SOS상담전화(1688-1004)는 이혼과 노인·아동학대, 가정폭력, 자살 등이 급증하면서 보건복지부가 위기가정 상시신고 및 긴급구호 대책 일환으로 올 7월부터 일선 지자체별로 설치, 운영하고 있으나 시행초기부터 전문인력 부족과 예산 미확보 등으로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SOS상담전화를 통해 긴급구호가 필요할 경우 1개월간 긴급생계 급여를 지급하되 1개월 연장할 수있도록 하고 1인가구의 경우 15만원, 4인가구 43만원을 책정했지만 대다수 지자체가 예산을 마련하지 못해 제대로 운영을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SOS전화에 상담을 구에 사회복지관련부서의 공무원이 맡고 있어 전문성이 떨어지는 등 효율적인 상담이 이뤄지지 않는데다 관계기관의 홍보 부족으로 이용률이 극히 저조한 실정이다.
특히 부평구의 경우 1억7천400여만원의 예산을 책정했지만 56만구민을 담당할 상담전화 담당 직원수가 고작 2, 3명에 불과하고 구체적인 프로그램이나 상담실 조차 마련돼 있지 않다.
계양구 역시 사정은 마찬가지다. 인구 34만6천명에 담당 직원은 2명 뿐인데다 24시간 운영체제인 상담전화를 야간에는 당직반이 받아 제 역할을 못하고 있다.
시민 김모씨(53·계양구 계산1동)는 "가정생계문제로 밤새 고민하다 SOS로 전화를 걸었으나 당직실에서 전화를 받아 9시 이후 다시 전화하라고 했다"며 "별다른 도움이 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에대해 사회복지과 관계자는 "가정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SOS상담전화를 운영하는 것은 바람직하지만 시에서 각 구로 위기가정수에 비례해 배분만 했지 아직 지급이 안된 상태"라며 "준비도 안된 상태에서 시작부터 해 실상 전화를 받아도 난감하다"고 말했다.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