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트리온은 16일 경영실적 공시를 통해 2021년 연결 기준 매출액 1조 8908억원, 영업이익 7539억원 , 영업이익률 39.9%를 달성했다고 밝혔다.
이는 전년 대비 매출액 2.3%, 영업이익 5.9%가 상승한 것으로 역대 최대 규모이며 연간 세전이익도 전년대비 21.6% 증가한 7915억 원을 기록해 최고치를 경신했다.
지난해 4분기의 경우 매출액 6011억 원으로 분기 최대 실적을 달성했으며 영업이익은 2190억 원을 기록했다. 전년동기 대비 매출은 20.5%, 영업이익은 33.0% 각각 증가했다.
미국 시장을 중심으로 점유율이 상승하며 견조한 매출을 기록한 바이오시밀러 제품 판매와 코로나19 관련 치료제 및 진단키트 매출의 증가 등이 실적 향상으로 이어졌다.
주력 항체 바이오시밀러 제품군의 경우 유럽 시장에서 지난해 3분기 기준 램시마 54%, 트룩시마 34%, 허쥬마 13% 등 안정적인 시장 점유율을 기록했다. 특히 지난해는 미국 시장에서 주력 항체 바이오시밀러 제품군의 점유율 상승이 두드러지며 매출 확보에 기여했다.
셀트리온은 올해 ▲주력 바이오의약품 포트폴리오 확대 ▲코로나19 솔루션 사업 강화 ▲램시마SC 시장 점유율 확대 등을 지속 가능한 성장동력의 주요 목표로 삼고 있다.
또 현재 보유 중인 총 11개의 바이오시밀러 제품 중(상업화 완료 5개, 개발 중 6개) 최소 5개 제품에 대해서 2023년까지 출시 지역을 확대하거나 신규로 출시하며 신성장동력으로 육성할 계획이다.
셀트리온은 지난해 2월 고농도 휴미라 바이오시밀러인 ‘유플라이마(CT-P17)의 유럽 판매 승인을 받았으며 12월에는 캐나다 보건부 판매허가를 획득하고 북미 시장 진출의 교두보를 확보했다.
이어 결장직장암 치료제 CT-P16(아바스틴 바이오시밀러)은 지난해 10월 한국과 미국에 이어 유럽에 허가 신청을 완료했고, 허가가 완료되는대로 조속히 시장에 제품을 선보일 전망이다.
특히 안전성이 확인된 코로나19 치료제 후보물질인 ‘CT-P63’을 추가한 흡입형 칵테일 항체치료제 개발에 더욱 속도를 내고 있으며, 기존 정맥주입형 치료제 대비 동등한 수준을 보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램시마SC 자가면역질환 치료제는 향후 글로벌 블록버스터 제품으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그룹 차원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현재 램시마SC의 유럽 내 성장 속도 및 시장 반응을 볼 때 앞으로도 점진적인 시장 점유율 확대로 이어질 전망이다.
셀트리온 관계자는 “지난해 주력 항체 바이오시밀러 및 코로나19 솔루션 제품군 매출 확대 등으로 양호한 실적을 기록했다”며 “올해도 신성장 동력 발굴 및 역량 집중을 통해 글로벌 제약바이오 기업으로 거듭 성장하겠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인천 = 박영재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