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극지연구소는 24일 대우조선해양주식회사(대표이사 이성근), 인하대학교(총장 조명우), 인하공업전문대학(총장 서태범)과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4개 기관은 인공위성을 활용한 극지 운항 공동연구에 힘을 모은다. 위성관측 자료의 활용도를 높이고 안전한 극지 운항과 효율적인 연구 수행을 위해 각자가 보유한 전문지식을 공유한다는 계획이다.
북극해는 지구온난화의 영향으로 바다를 덮고 있던 해빙(바다얼음)이 녹으면서 새로운 항로로 주목받고 있다. 접근과 이동이 수월해지면서 해빙에 가려 있던 수산·지하자원의 개발 등 경제적 가치에도 관심이 높아졌다.
그러나 녹아서 분리된 채 바다 위를 떠다니는 거대한 해빙 조각이 배의 운항을 방해하고, 계절에 따라 해빙이 얼었다 녹았다 하는 현상이 계속되기 때문에 안전한 항해를 위해서는 해빙의 변화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인공위성은 접근이 어려운 북극해를 광역적으로 관측할 수 있어 북극 해빙 연구에 활용된다. 극지연구소는 인공위성 관측 자료를 분석해 북극 해빙의 움직임을 예측하는 연구를 이어오고 있다.
대우조선해양은 약 20년 간 국내·외 기관들과 협력 연구로 극지운항 관련 기술을 개발하고 있으며, 지난 2017년에는 북극해 항로를 이용하는 야말 LNG선을 제작했다.
인하대와 인하공전은 선박이 극지를 운항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충돌 시뮬레이션을 통해 마모 등을 분석하고 쇄빙선 설계 연구에 활용하고 있다.
강성호 극지연구소장은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우리가 현장과 실험실에서 찾은 연구 결과가 학교·산업계의 연구로 이어지고, 나아가 대한민국의 경제활동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인천 = 조경욱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