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8 (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성빈센트병원 김윤정 교수, 제8회 ‘아시아 족부족관절협회’ 최우수 논문 연제상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은 정형외과 김윤정 교수가 제8회 ‘아시아 족부족관절협회(AFFAS)’에서 최우수 논문 연제상을 수상했다고 6일 밝혔다.

 

김 교수는 ‘파열된 발목 외측인대의 세포자가사멸을 포함한 분자학적 비교 연구 : 만성 외측 발목 인대 불안정성의 수술적 치료 적응증에 대한 생물학적 근거 마련’ 연구의 성과와 우수성을 인정받아 수상했다.

 

해당 연구는 2019년 3월부터 2021년 2월까지 만성 외측 발목인대 불안정성으로 인대 봉합술을 받는 환자, 급성 외복사 골절로 골절부 고정술을 받는 환자로부터 각각 전방거비인대 조직을 얻어 두 환자군의 조직 내 자가사멸세포 정도를 분석하고 그 차이를 비교했다.

 

그동안 급성 발목 염좌와 만성 인대 불안정성에 대한 보존 및 수술 치료 적용 범위 등에 대해 여러 연구와 논의가 있었지만, 설문평가·신체검진·스트레스 부하 영상 검사 등에 근거한 것이었다. 김 교수는 보다 객관적인 근거 마련을 위해, 발목 염좌가 발생했을 때 제일 먼저 파열되기 쉬운 발목 외측 인대 부위인 전방거비인대의 조직을 비교 분석했다.

 

그 결과, 만성 외측 발목 인대 불안정성 환자의 전방거비인대 조직 내에서 세포자가사멸이 발생됐다. 급성 발목 염좌 환자의 전방거비인대 조직과 비교해도 세포자가사멸이 더 많이 발생됨을 확인했다.

 

김 교수는 “본 연구는 발목 전방거비인대 내 세포자가사멸 관련한 첫 연구로, 발목 외측 인대 손상 시 수술적 치료의 적응증에 대한 분자생물학적 근거를 제시했다”며 “추후 인대 내 세포자가사멸을 예방하거나 치료법을 개발하기 위한 토대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2018년 한국연구재단 생애 첫 연구 사업으로 선정돼 진행됐다.

 

[ 경기신문 = 정경아 기자 ]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