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불어민주당 경기도당 공천 후보자 신청 접수가 지난 6일 최종 마감된 가운데 후보자들 중 여성·청년의 비율이 30%에 못 미치는 결과가 나왔다.
민주당은 같은 날 ‘청년과 여성에 대해 각각 30% 공천 의무화’를 발표했지만 이에 도달하지 못하는 결과가 나오면서 부실 공천 우려도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7일 더불어민주당 경기도당에 따르면 공직선거후보자추천관리위원회(공관위)가 지난달 29일부터 5일까지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공직선거 후보자 공모를 진행한 결과 기초단체장 선거 출마 희망자 125명과 광역의원 214명, 기초의원 447명 등 총 786명이 응모했다.
광역의원 214명 중 여성은 48명이 접수해 22.4%의 비율을 보였다. 청년은 33명이 지원해 15.4%를 나타냈다.
기초의원의 경우 447명 중 여성은 162명으로 36.2%가 지원해 가까스로 30%대를 넘겼지만 청년은 107명으로 23.9%에 그쳤다.
이달 초 송영길 전 대표는 인적 쇄신안을 발표하며 “지방선거에서 광역·기초의원의 비율을 30% 이상으로 여성과 청년 공천을 의무화하겠다”고 밝혔지만 실제 후보자 공모를 진행한 결과 대부분 30%에 미치지 못하는 결과가 나온 셈이다.
앞서 지난 6일 민주당 비상대책위원회는 회의를 열고 청년(만 45살 이하)과 여성에게 기초·광역 의원의 30% 이상씩을 의무 공천하는 방안을 의결했다.
다만, 지역구 특성상 청년·여성 비율을 채우기 어려운 경우에는 공관위의 의결로 ‘예외’를 인정할 수 있도록 했다.
이처럼 민주당 내에서 여성과 청년의 공천 비율을 높이려는 의지를 강력하게 드러내고 있지만, 무리하게 숫자만 맞추려다 부실 공천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박상병 인하대 정책대학원 교수는 “30% 의무 공천을 목표치로 설정한 건 의미가 있지만 실질적으로 달성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며 “의무화 방침으로 인해 후보자 검증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공천이 되는 상황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또한 전국적으로 여성과 청년 후보자 수가 부족한 상황에서 당내에서 긴 안목을 갖고 인재풀을 길러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민주당 전국청년위원장인 장경태 의원은 “현재 전국적으로 여성, 청년 후보자가 부족한 상황”이라며 “2018년 지방선거 때 청년 후보들이 580명으로 많이 나왔을 때도 480명이 공천을 받아 396명이 당선됐다. 후보자 발굴이 매우 어려운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도 장 의원은 “공천 목표를 채우기 위해 면접 등을 통해 자질 검증을 할 것이고 정말 자질이 안 되는 후보자들은 제외하겠지만 가급적이면 관철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며 “부실 공천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철저하게 검증이 필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 민주당 경기도당 관계자는 “이번 결과는 단순히 후보자들의 접수 현황에 그치는 것일 뿐”이라며 “앞으로 공관위원회에서 비율을 어떻게 다시 맞춰갈지 세부적인 공천 룰, 비율 등은 2차 심사에서 다시 결정될 수 있다”고 전했다.
[ 경기신문 = 김혜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