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가 ‘현장노동자 휴게시설’ 지원 사업의 발전 방향 모색과 실효성 제고를 위해 노사 각계의 목소리를 수렴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25일 도에 따르면 경기도청 북부청사 상황실에서 ‘현장노동자 휴게시설 실태 및 2023년도 사업 방향 관련 경기도-사업주-노동단체 간 정담회’가 개최됐다.
이날 참석자들은 도내 현장노동자 휴게시설 개선 지원 사업 성과와 노동자 휴게 여건 실태에 대해 의견을 나누고 노사 모두 만족할 수 있는 사업 추진 방향에 대해 논의를 진행했다.
참석자들은 노동 환경에 대응해 실질적인 노동자 휴식권을 보장하기 위해선 관련 예산 확대와 20인 미만 사업장 등 열악한 사업장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책이 필요하다는 데 입을 모았다.
또한 업종별로 휴게 행태와 여건이 다르기 때문에 세분화된 실태조사가 필요하고, 사업 수혜자인 다수의 현장 의견을 청취해 실효성 있게 사업을 추진하는 게 중요하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이에 따라 도는 정담회에서 나온 의견과 함께 지난해 실시한 ‘산업단지 등 현장노동자 휴게 여건 실태조사’ ‘노동분야 전문가 토론회’ 등에서 도출된 제안을 종합적으로 수렴·검토해 사업을 발전시킬 방침이다.
김종구 도 노동국장은 “이번 정담회는 휴게시설 개선의 직접적 당사자인 사업주와 노동단체들의 의견을 청취할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며 “제안된 의견들을 토대로 노동자 휴식권 보장을 위한 더 정책을 만들어 노동이 존중받는 데 앞장서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도가 ‘노동 존중 세상’ 실현을 위해 추진하는 ‘현장노동자 휴게시설 개선 지원 사업’은 노동자에게는 휴게권을 보장하고 사업주는 휴식을 통한 노동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상생의 사업이다.
지난해에는 도가 직접 사업으로 사회복지시설, 중소제조업체, 요양병원 등 17개 기관 23개소의 휴게시설을 개선한 바 있다.
[ 경기신문 = 김혜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