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는 도내 수출기업 피해 최소화를 위해 중국 주요 도시 코로나19 봉쇄 조치 장기화에 따른 수출 대응 회의를 진행했다고 17일 밝혔다.
지난 16일 수원컨벤션센터에서 열린 회의에는 한국무역협회, 경기연구원,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경기도주식회사, 경기도수출기업협회, 경기FTA센터 등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중국 정부 봉쇄정책에 따른 국내외 수출입 상황, 국내·지역 경제에 미칠 영향과 대응 방안 등을 논의했다.
특히 상하이, 선양, 광저우, 충칭, 옌볜 등 5개 지역에 소재한 경기비즈니스센터(GBC) 등을 화상으로 연결해 현지 분위기와 기업 동향을 확인했다.
중국은 우리나라 최대 교역대상국이자 경기도 1위 수출국으로, 도내 중국 수출기업은 1만1512개 사에 이른다.
도가 수출애로통합지원센터를 통해 지난 2일부터 11일까지 도내 수출기업 3만2600여 곳을 조사, 이번 중국 봉쇄정책에 따른 피해를 접수한 결과 물류비 문제 14건, 수출 중단‧감소 6건, 생산중단 4건 등이 확인됐다.
또 기업SOS지원센터가 지난 2일부터 9일 이지비즈 회원사 2만여 곳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에서도 53곳이 피해를 본 것으로 나타났다. 피해 유형은 납품·생산가동 28건, 원자재 수급 27건, 거래선 22건, 물류 16건 등이다.
피해 기업들은 대부분 물류난과 원자재 상승 등 중복 피해를 봤다. 이들은 창고보관비 등 물류비 지원, 대체 바이어 발굴, 마케팅 다변화 지원 등 대책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이에 도는 중국 현지 경기비즈니스센터(GBC) 5곳을 중심으로 현지 상황을 상시 모니터링해 코로나19 및 바이어 동향, 시장정보, 물류·통관에 관한 정책 등을 기업에 안내하겠다고 밝혔다.
또 현지 네트워크를 통해 유력 바이어를 발굴하고, 온라인 화상을 통한 비대면 수출 상담 서비스를 지원하는 등 현지 마케팅에 어려움을 겪는 도내 수출기업을 도울 예정이다.
기업의 수출입 애로사항도 경기FTA센터 등 상담 채널을 통해 지속해서 접수·파악하고, 신속히 대응책을 마련해나갈 방침이다.
아울러 필요한 경우 중기부 ‘물류전용수출바우처’ 등 정부 사업과 도의 각종 수출입 지원 사업을 연계해 물류·통관 등 어려움을 겪는 기업도 지원할 예정이다.
향후 경기비즈니스센터(GBC)를 강화해 수출입 우회 방법을 마련하는 등 대안을 모색하고, 장기적으로는 도 차원에서 중소기업 대상 물류비 지원사업을 신규 추진하는 방안도 검토할 계획이다.
류광열 도 경제실장은 “도내 기업이 원하는 물류비 지원과 대체 바이어 발굴 등을 위해 방안을 마련하고, 우호협력을 맺은 중국 지방정부와의 협력을 통한 기업 지원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 경기신문 = 김혜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