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상호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원장이 한반도의 안보와 경제 위기 등 국가 현안에 대해 ‘정부·여당 책임론’을 강조하며 ‘야당 살리기’에 주력하는 모습이다.
우 위원장은 13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제1회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전날(12일) 북한 방사포 발사와 맞물린 윤석열 대통령의 영화관람 등 문화행사를 두고 정부의 안보 정책 정체성에 대해 비난했다.
우 위원장은 "북한 선제타격까지 주장할 정도로 강력하게 얘기하면서 실제 행동에서는 너무나 안이하게 대처하고 있다"며 "윤석열 정부의 안보 정책의 정체성은 무엇이냐"고 꼬집었다.
이어 “윤 정권의 대응 방식은 아마추어리즘에 입각해있다. 매우 실망스럽다”며 질타했다.
이날 비대위는 민생과 안보 등 현안 해결을 두고 국민의힘에 전폭적인 양보를 주문했다.
우 위원장은 "국회를 정상화하기 위해서는 여당의 양보가 선결 과제다"라며 여당 책임론을 내놓았다.
그는 "최근 화물연대 파업과 물가 불안, 각종 경제 위기와 안보 불안에 대한 국회 차원 대처 방안 만들기 위해서라도 여당의 전폭적 양보를 촉구한다”며 "야당도 국정운영의 한 축으로서 협력할 것은 협력하겠다"고 밝혔다.
우 위원장은 법사위원장 문제에 대해 여당의 막무가내식 합의 주장이 모순됐다고 지적했다.
우 위원장은 "합의 정신의 핵심은 법제사법위원회가 그냥 평범한 상임위로서 역할을 한다는 전제하에 법사위를 양보한다는 것"이라며 "전제조건 없이 오로지 합의만 지키라고 하는 모습은 본말 전도된 모습"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법사위의 위상을 바꾸거나, 바꿀 생각이 없으면 의석 비례에 따라 법사위 양보하라"며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의 입장 변화를 촉구했다.
이날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전당대회 준비위원회 및 대선·지방선거 평가단 구성 등 사안에 대해 별도 공개 발언은 없었다. 이는 윤 정부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를 높여 시선을 끌고 당내 단합을 도모하기 위한 행보로 해석된다.
대선과 지방선거에서 패한 당을 결속시키고 차기 지도부 선출이라는 중책을 맡은 비대위는 오는 8월 말 전당대회가 치러지기 전 두 달여간 활동할 예정이다.
한편 윤석열 대통령은 이날 아침 출근길에서 북한의 방사포 도발 속 영화관람 논란에 대해 "방사포는 미사일에 준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윤 대통령은 "방사포가 미사일에 준하는 것이면 거기에 따라 조치를 하면 된다"며 "어제 방사포는 미사일에 준하는 것이라고 보이지 않아 거기에 필요한 대응을 한 것"이라고 일축했다.
[ 경기신문 = 김한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