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5 (화)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윤, 잠정 중단 하루 만에 '원거리' 도어스테핑 재개…내부 갈등 반증하나

앞서 11일 '잠정중단'…12일 尹 "물어볼꺼 있으면 물어보라"
전문가들 "참모들과의 갈등 드러나는 대목…여론 의식한 듯"
尹, "조만간 포토라인 칩시다" 약식회견 정상화 의지 밝혀

 

윤석열 대통령이 코로나19 재확산 우려로 잠정 중단했던 출근길 도어스테핑(약식회견)을 하루 만에 재개했다. 일각에서는 대통령실 내 ‘불협화음’이 아니냐는 주장도 나온다.

 

12일 윤 대통령은 용산 대통령 출근길에 기자들이 멀리서 인사를 하자 “(기자들) 가급적 재택근무를 권고하고 청사 안전을 지키고자 했는데 다들 나오신다면서”라며 말을 건냈다.

 

도어스테핑 중단 조치로 근접 접근이 제한된 취재진은 7~8m가량 떨어진 거리에서 ‘이 정도 거리에서 도어스테핑은 어떤가’라고 말했고, 윤 대통령은 "물어볼 거 있으면 물어보라"고 답했다.

 

기자들의 요청에 윤 대통령이 화답하며 자연스럽게 도어스테핑은 재개됐다.

 

이를 두고 전문가들은 윤 대통령과 참모 간의 갈등이 표면적으로 드러난 것이 아니냐는 해석이 분분하다.

 

장성철 공론센터 소장은 이날 경기신문과 통화에서 “어제 (대통령실에서) 도어스테핑 안 한다고 발표했는데 오늘 대통령이 느닷없이 재개한 것 자체가 참모들과 대통령 간에 손발이 안 맞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장 소장은 “도어스테핑을 하니까 대변인의 역할이 없어져 버리는 것처럼 보이기도 했다”며 “대통령이 한 말씀하시면 대변인실에서는 즉각 해명해야 했던 것도 사실”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장 소장은 대통령실 참모들의 권위를 받아들이지 않는 대통령의 모습에 우려를 표했다.

 

그는 “윤 대통령은 ‘내가 뭐 하고 싶은 대로 하지’라는 생각이 더 강하신 것 같다”라며 “(코로나19 재확산 우려로 중단했다가) 멀찌감치 떨어져서 대화하면 괜찮은가”라고 반문했다.

 

최진 대통령리더십연구원장도 “도어스테핑으로 구설수가 많아져 비판적 내부 여론이 많이있었다”며 “어제 중단 발표 이후 비판 여론이 거세지자 (윤 대통령이) 그런 여론을 좀 의식해서 재개한 것으로 보인다” 말했다.

 

아울러 전문가들은 ‘도어스테핑’문화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도 방식의 전환이 필요한 때라고 입을 모았다.

 

최 원장은 “(대통령이) 인식을 바꿔야 한다. (도어스테핑은) 오전에 국민들에게 드리는 '약식 기자회견'이다”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무슨 말을 해야 할지 전날 밤 충분히 준비해야 하고, 사소한 표현이나 실수, 인사도 모두 준비된 것이어야 한다. 그게 대통령이다”고 지적했다.

 

그는 도어스테핑을 유지하되 회견 횟수·분야·회견 시간 등을 일정하게 정한 체계적인 소통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장 소장은 “도어스테핑은 계속해야 된다”라며 “교통사고 많이 난다고 자동차를 다 없애 버리는 건 아니지 않나”며 비유했다.

 

장 소장은 “소통 대통령의 상징인 도어스테핑을 안 하겠다는 것은 ‘소통 못하게 만들겠다’라는 참모들의 권위와 결정으로 보여 적절하지 않다”고 일갈했다.

 

그러면서도 그는 대통령의 소통 방식에 변화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장 소장은 “말 한마디가 국가의 정책을 좌지우지할 수 있기 때문에 윤 대통령이 신중하고 정숙한 모습을 보여줘야 할 때”라고 말했다.

 

한편 윤 대통령은 이날 도어스테핑에서 ‘내일도 도어스테핑을 하느냐’는 질문에 “이거야 하면 안되나? 여러분 괜찮으면 며칠 있다가 (포토라인) 칩시다”라고 말하며 도어스테핑 본격 정상화 의지를 드러냈다.

 

[ 경기신문 = 김한별 기자 ]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