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가 도민들에게 비상 상황 대비 행동 요령과 대피시설 위치 등의 정보를 숙지하기 위해 어플, 포털 등을 적극 활용해달라고 10일 당부했다.
이는 우크라이나 사태, 북한의 미사일 발사, 양안 갈등 등 최근 국내외 안보 상황의 불안정성이 확대됨에 따라, 민방위 등 비상 대비 태세 확립의 중요성이 커진 데 따른 것이다.
특히 도는 김포, 파주, 연천 등 7개 접경지역 시‧군을 포함하고 있어 주민 행동 요령과 대피시설 위치를 숙지하고 있어야 비상 상황 시 자신의 생명을 지킬 수 있다고 설명했다.
현재 도내에는 77개소의 정부 지원 주민대피시설과 3703개소의 공공용 주민대피시설이 지정돼 있으며, 상세 위치와 이동 경로 등은 ‘국민재난안전포털’과 '안전디딤돌' 앱에서 볼 수 있다.
또 비상 대비, 자연·사회 재난, 생활안전 등 여러 상황별 행동 요령도 확인이 가능하다.
원진희 도 비상기획담당관은 “가까운 대피시설 위치와 주민행동요령을 숙지하는 것은 비상 상황 시 자신과 가족의 생명을 구할 수 있는 가장 손쉽고 효율적인 방법”이라며 “도민들께서 적극적으로 활용해달라”고 당부했다.
한편 도는 오는 22일부터 25일까지 ‘2022 을지연습’을 추진, 전면전, 국지도발, 재난 상황 등을 가정한 대피 훈련을 진행하고 주민 행동 요령을 전파하는 등의 활동을 할 방침이다.
특히 을지연습 기간 중 시‧군과 연계해 ‘국민재난안전포털’과 ‘안전디딤돌’ 활성화를 위한 홍보를 진행하고, 다양한 활용방안을 모색할 계획이다.
[ 경기신문 = 김기웅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