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호영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혁신형 관리 비대위’체제로 방향을 잡으며 존폐위기에 처했던 혁신위원회가 내놓을 1호 혁신안에 관심이 쏠린다.
21일 국민의힘에 따르면 혁신위는 오는 22일 예정된 전체회의에서 공천 제도 개혁안 등 각 소위에서 올라온 혁신안을 집중 논의 할 예정이다.
혁신위 산하 ‘인재를 키우는 정당 소위(인재소위)’는 ▲공천 시스템 정비 ▲윤리위원회 권한 확대 ▲공직후보자 기초자격평가(PPAT) 시험 강화 등을 담은 혁신안을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일각에서 선거가 임박해 특정인을 지정하는 방식의 ‘낙하산 공천’을 원천 차단해야 한다는 목소리에 인재소위는 공천 시스템을 정비로 뜻을 모았다.
이에 따라 소위는 당의 인재 풀 확대, 데이터베이스(DB)를 이용한 예비 공직 후보자들 관리 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진다.
또 기존 공천관리위원회가 가지고 있던 후보자 검증 권한을 윤리위로 분산시키는 내용도 논의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후보자 검증을 이원화해 후보자의 법적·도덕적 수준을 제고하자는 취지로 풀이된다. 나아가 윤리위의 위상과 역할을 강화하고, 윤리위원들의 자격 기준을 높이는 안도 검토 중이다.
이날 회의에서는 PPAT의 권한 강화안도 논의될 전망이다. PPAT는 이준석 전 당 대표의 주도로 지난 지방선거 때 첫 도입된 공직후보자 기초자격평가 시험제도다.
인재소위는 차기 총선에 PPAT를 확대 적용하고 시험을 정례화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것으로 전해진다.
다만 혁신위가 내놓은 공천 개혁안에 대해 일각에서는 차기 지도부가 논의해야 할 공천룰을 전임 지도부가 만든 혁신위가 내놓는 건 맞지 않는다는 의견이 분분하다.
공천은 차기 총선과 이어진 민감한 사안인 만큼 혁신위가 내놓은 안에 대해 논쟁이 발생할 경우 비대위 출범으로 겨우 봉합시킨 당의 내홍이 재차 불거질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앞서 주 위원장은 최재형 국민의힘 혁신 위원장에 “논쟁적인 것을 미리 꺼내면 활동이 쉽지 않을 것”이라고 당부한 바 있다.
[ 경기신문 = 김한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