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병수 국민의힘 전국위원회 의장이 31일 전국위 의장직을 사퇴하겠다고 밝혔다.
서 의원은 이날 오후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 시간부로 전국위 의장직을 내려놓는다”고 밝혔다.
서 의원은 “지도부의 연락이 오길 바랐고 전국위 소집 요구서를 저한테 보내주길 기다리고 있었으나 아직까지 아무런 연락도 없어서 입장 표명을 해야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저는 일관되게 비대위가 아닌 (당 대표) 직무대행 체제로 가는 게 옳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나어제 의총에서 비대위로 가는 게 결론이 났다”며 “고심 끝에 저의 직을 내려놓는 것이 타당하다는 결론을 내렸다”고 했다.
서 의원은 이준석 전 대표가 현 비대위원 8인에 대한 효력정지 추가 가처분을 신청한 데 대해 “법원이 똑같이 결론을 내리지 않을까 생각한다”며 “그렇기 때문에 전국위 의장으로서 같은 결론을 두 번 해선 안 된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고 했다.
전날 의총에서 결의된 당헌·당규 개정안 관련 “‘비상상황’(의 조건을) 말로만 하지 말고 당헌·당규에 집어 넣어서 규정하자는 것”이라며 “이것도 똑같이 작위적이다. 또다시 가처분이 인용된다면 당은 겉잡을 수 없는 혼란에 빠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새로운 원내대표를 뽑아서, 그 원내대표를 중심으로 지도부를 새로 구성해 직무대행 체제로 나간다고 한다면 가장 쉽고 안정적인 방법”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제가 만일 의장직을 유지하면서 전국위 소집 요구에 응하지 않는다면 어깃장을 놓는 모양새가 돼 국민들에게 걱정을 끼치는 결과가 나온다”며 “(전국위 의장) 궐위 시 전국위 부의장에게 (사회권 등) 권한이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서 의원은 이 전 대표의 당 복귀 가능성은 매우 어려울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비대위를 구태여 해야 하는 이유로 이 전 대표 복귀를 막기 위함이라고 많은 분들이 이야기 한다”고 말했다.
이어 “하지만 비대위 없이 직무대행 체제로 간다고 해도 징계받은 당 대표가 아무 일도 없었던 듯 와서 당 대표를 할 수 없다”고 잘라 말했다.
서 의원은 “복귀하려면 한 번 더 당원들과 국민의 검증과 평가를 받아야 한다”며 “전당대회에 나가는 길(이 검증방법)이다. 그런데 나가더라도 될 가능성이 별로 없지 않을까”라고 반문했다.
그는 “내년 1월 말쯤 전당대회가 개최되면 (이 전 대표가 출마를) 할 수는 있을 것”이라고 했다.
서 의원은 “언론에서 (전국위) 소집 요구를 곧 할 것이라고 들었지만, 현재까지 당 지도부 어느 누구도 그런 것에 대한 연락이 없었다”며 “이 전 대표와도 이 과정에서 한 번 더 통화하거나 의논한 적은 없었다”고 했다.
한편 국민의힘은 전날 의원총회를 열고 비대위 전환 요건을 규정하는 당헌·당규 개정을 통해 가급적 추석 전까지 새로운 비상대책위를 구성하기로 재결의했다.
그러나 전국위 의장인 서 의원이 비대위 체제 전환 절차를 반대하며 전국위 소집 요구에 응할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며 새 비대위 구성은 어렵게 됐다.
다만 서 의원이 이날 의장직을 내려놓으면서 전국위 부의장인 윤두현·정동만 의원이 사회권 등을 이어받아 전국위 소집 요구에 응한 뒤 당헌·당규 개정 절차를 마무리할 것으로 전망된다.
[ 경기신문 = 김한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