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가 6일부터 12월 28일까지 올해년도 주민등록 사실조사를 진행한다고 5일 밝혔다.
주민등록 사실조사는 도민의 실제 거주지와 주민등록지를 일치시키기 위해 실시하는 것으로 주민등록법에 의거해 매년 실시하고 있다.
올해 중점 조사 대상은 ▲사망 의심자 포함 세대 ▲장기결석 및 학령기 미취학 아동 포함 세대 ▲복지 취약계층(보건복지부의 중앙 복지 위기가구 발굴대상자 중 고위험군) 포함 세대 등이다.
중점 조사 대상 세대는 원칙상 방문 조사를 하는 등 강화된 주민등록 사실조사로 이뤄진다.
각 시‧군 및 읍‧면‧동에서 공무원과 통·이장으로 구성된 합동조사반을 편성해 유선(전화) 혹은 방문 조사를 실시하고 허위전입자, 무단전출자 등에 대해서는 직권 조치로 정리하게 된다.
올해 조사부터는 비대면-디지털 사실조사 방식도 새롭게 도입한다.
조사대상자가 주민등록지에서 정부24(모바일) 본인인증 로그인을 통해 비대면 조사 시스템에 접속한 후 사실조사 사항에 응답하는 방식이다. 비대면-디지털 조사에 참여했더라도 유선 조사는 보조적으로 진행된다.
신고 지연에 따른 과태료 우려로 신고를 못 하는 도민을 위해 ‘자진신고 경감제’도 운영한다.
주민등록 사실조사 기간에 잘못 신고 된 주민등록 사항을 읍·면·동 주민 센터에 사실대로 신고하면 과태료가 2분의 1, 최대 4분의 3까지 줄어든다.
유태일 도 자치행정국장은 “주민등록 사실조사는 도정 수립의 밑바탕이 되는 주민등록 통계를 정확하게 해 도민의 복리증진에 기여하고자 하는 조사인 만큼 조사원이 방문할 때 주민들의 적극적인 협조를 부탁드린다”고 당부했다.
[ 경기신문 = 김혜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