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석열 대통령은 11일 “(북한이) 핵을 통해서 얻을 수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며 연일 이어지는 북한 핵 위협에 관련한 입장을 내놨다.
윤 대통령은 이날 용산 대통령실 청사 출근길 문답에서 “북한은 지금 핵을 꾸준히 개발하고 고도화시켜 나가면서 대한민국 뿐 아니라 전 세계를 상대로 핵으로 위협하는 상황”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담대한 구상이 북한의 비핵화라는 목표를 끌어내는 데 유효하다고 생각하는가’라는 질문에 “유효하다고 생각한다”며 “북한의 비핵화는 30년간 1990년대 초반부터 우리도 전술핵을 철수시키고 한반도의 전체 비핵화라는 차원에서 추진됐다”고 부연했다.
그러면서 “대통령으로서 현재 이렇다 저렇다 공개적으로 입장 표명할 문제는 아니고 우리나라와 미국 조야의 여러 의견을 잘 경청하고 따져보고 있다”며 전술핵 한국 재배치 요구에 대한 생각을 전했다.
윤 대통령은 한일간 군사 협력 강화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에 “핵 위협 앞에서 어떤 우려가 정당화될 수 있냐”고 반문하며 “북핵 위협이 날로 심각해지고 있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굳건한 한미동맹과 한미일 안보협력을 바탕으로 견고한 대응 체제를 구축해 잘 대비하고 대응하겠다”라며 “국민은 걱정하지 말고 경제활동과 생업에 전력을 다하면 된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전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도 한·미·일 간의 공조를 재차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심각한 안보 위기에 정부는 한미동맹과 한미일 안보협력을 포함한 국제 공조로 잘 대응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엄중한 현실을 정확히 인식하고 국민이 걱정하지 않도록 외교안보팀이 하나 돼서 굳건하게 대비할 테니 국무위원들도 힘을 모아달라”고 당부했다고 이재명 부대변인이 브리핑에서 전했다.
윤 대통령 언급과 관련해 이 대변인은 ‘전술핵 재배치에 대한 대통령실의 정확한 입장’을 묻는 질문에 “윤 대통령이 전과 다른 입장을 말했다고 느끼지 않았다”고 답했다.
그는 “앞으로 어떤 상황이 전개될지 속단하기 어렵기 때문에 그런 점을 함께 포함한 것 아닌가 싶지만, 기본적으로 기존 입장과 달라진 것은 없다고 보여진다”고 덧붙였다.
앞서 윤 대통령은 지난 8월 17일 취임 100일 기자회견에서 “핵확산금지조약(NPT) 체제를 끝까지 포기하지 않고 지켜낼 생각”이라며 전술핵 재배치에 사실상 부정적 입장을 밝혔다.
[ 경기신문 = 김한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