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자치경찰의 독립·자율성 보장을 위해 자치경찰위원회 중심으로 조직을 운영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인천시자치경찰위원회와 인천언론인클럽은 20일 인천 중구 하버파크호텔에서 ‘인천 자치경찰 정책 토론회’를 열었다.
발제에 나선 장일식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 연구관은 “자치경찰위 중심으로 인천시와 인천경찰청, 인천시의회, 유관기관 등이 협력하는 형태의 운영 방식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기초자치단체도 자치경찰정책과를 신설해 범죄예방이나 사회적약자 보호 및 교통안전 등 자치경찰 사무를 할 수 있는 지방행정과의 연계 강화 전략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김봉운 자치경찰정책과장(총경)은 ‘자치경찰위 운영 성과와 향후 과제’ 발표에서 “자치경찰 출범 직후 아동학대 112 신고가 14.1% 줄고, 스쿨존 어린이교통사고가 48.1% 줄었다”며 “학교폭력 검거는 19.2% 증가하는 성과를 냈다”고 평가했다.
자유토론에 나선 신동섭 시의회 행정안전위원장은 “조직분권과 재정분권 없이 자치경찰제의 조기 정착은 힘들다”며 “그런데 경찰권은 주지 않고 책임만 부여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조직을 움직이려면 예산이 필요하다”며 “최소 국세와 지방세가 6대 4 비율이 돼야 자치경찰이 정착할 수 있다”고 했다.
박희제 인천언론인클럽 회장은 “자치경찰위는 어린이 교통안전 대책을 1순위 시책으로 내걸어 성과를 냈다”며 “앞으로 자치경찰의 위상을 높이고 시민 일상에서 확고히 뿌리내렸으면 한다”고 전했다.
[ 경기신문 / 인천 = 김민지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