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동에 대한 인식, 그리고 생명과 안전의 가치는 비용과 이윤에 비교하지 말아야 합니다”
17일 철도선로 작업 사망사고가 발생한 오봉역 철도현장을 찾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이같이 말했다.
이날 오후 3시쯤 지난 5일 발생한 오봉역 철도 노동자 사망사고와 관련해 이 대표와 민주당 김민기·조오섭·이소영 의원 등이 오봉역을 찾았다.
현장에 도착한 이들은 나희승 한국철도공사(코레일) 사장의 사건개요 및 조사현황 등 브리핑을 들은 뒤 안전모와 조끼를 착용하고 곧장 철로로 들어섰다.
선로전환기~사고 발생지점 약 60m의 구간은 울퉁불퉁한 돌들과 선로 옆 무분별하게 쌓인 적치물 등으로 밝은 낮임에도 제대로 걷기조차 어려웠다.
1984년도에 지어져 40년 가까이 된 오봉역은 코레일 전체 수송량의 약 30%를 차지하는 대형 수송로다. 그러나 반수동 선로전환기 등 노후 설비 시설과 부족한 인력난으로 노동자들은 여전히 위험에 노출돼 있는 것이다.
현장에 들어선 이 대표는 침통한 표정으로 묵묵히 코레일 관계자의 설명을 들었다. 이어“(선로전환기는)어떤 식으로 작동하나” “선로전환만 하는 작업자가 있는 것이냐” 등 질문을 던졌다.

약 10여 분간의 현장 점검을 마친 이들은 인근의 오봉역 역사로 이동해 전국철도노조 관계자들과 ‘오봉역 사고원인 규명과 재발방지대책 마련을 위한 철도 노동자 간담회’를 실시했다.
이 대표는 “인명을 달리하신 고인의 명복을 빈다”며 말을 이어갔다.
그는 “살려고 갔던 직장이 죽음의 장이 되어버린 참혹한 현실이 어제 오늘일이 아니다”라며 “사람의 생명이나 안전보다 이윤, 비용을 더 중시하는 사회로 구조적인 문제들이 해결되지 않고 있었던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에 철도 노조는 오봉역의 잦은 사고의 원인으로 노후시설과 인력개선을 이유로 들며 개선미비의 중심에 국토교통부와 기획재정부 등이 있다고 지적했다.
박은호 전국철도노동조합 위원장은 “작업통로 확보와 안전 시설물 등 개선 요구를 산업안전보건위원회 때마다 안건으로 올려 노사 간 논의했지만 예산 핑계로 해결되지 않았다”고 주장헀다.
이어 “노사 합의로 2018년 삼일회계법인을 통해 (야간작업에) 필요한 인력이 1850명이 되는 것을 검증받고 국토부와 기재부에 1850명에 대한 인원 충원을 요구했다”고 설명했다.
박 위원장은 “그러나 확보된 인원은 0명이었다. 20년과 21년에도 안전 인력에 대한 요구를 국토부와 기재부에 했는데 기껏해야 20%만 충원해줬다”고 덧붙였다.
그는 어명수 국토부 제2차관은 현장에서 ‘고인의 실수로 사망했다’는 취지의 망언까지 쏟아 냈다며 “이 사고의 근본적인 원인을 제공했던 기재부와 국토부는 왜 유족의 슬픔을 같이 하지 않냐”고 호소했다.
아울러 이날 이재명 당 대표는 “사실 누군가 생명을 잃어도 특별히 책임지는 사람도 없고, 그렇다고 근본적으로 해결되는 것 같지도 않다”며 “신중하게 경청하고 (개선)가능한 방법이 무엇인지 함께 찾겠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 5일 밤 8시 20분 야간근무를 하던 수송원 A씨(33)는 시멘트 수송용 벌크화차의 연결·분리 작업을 하던 중 반수동 형태의 철로 변경 과정에서 사고를 당했다.
[ 경기신문 = 김한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