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0‧29 참사’ 이후 긴급 신고 번호를 하나로 통합해 각종 재난을 신속하게 대처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112와 119에 각각 접수된 신고 내용이 소방과 경찰 간 원활히 공유가 되지 않아 재난관리체계의 구멍이 생긴다는 지적이다.
지난해부터 유관기관 간 소통할 수 있는 재난안전통신망이 구축됐지만, 10‧29 참사 당시 유관기관 간 통신 시간은 195초에 불과했다. 이로 인해 소방과 경찰 간 상황 전파가 원할하지 않아 ‘골든타임’을 놓쳤다는 비판을 받았다.
이를 막기 위해 일각에서는 소방·경찰 통합 재난관리체계를 만들기 위한 긴급 신고 번호 119와 112를 일원화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긴급 신고 번호가 통합되면 소방과 경찰 간 정보 공유가 쉬워지고 지휘체계가 줄어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실제로 ‘세월호 참사’ 이후 21개였던 안전 관련 신고 번호를 3개(112, 119, 110)로 통합하면서 신고 처리 속도가 빨라졌다는 조사 결과도 있다.
지난해 행정안전부가 긴급신고전화 통합서비스 시행 5년을 맞아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신고는 평균 69초 단축(169초→100초), 경찰·소방·해경 등의 공동 대응 출동은 평균 3분 43초 단축(7분 46초→4분 3초) 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 때문에 ‘10‧29 참사’ 이후 정부 차원에서 112와 119 신고전화 통합 건이 한 차례 검토됐지만, 신고가 폭주하면 과부하가 걸릴 수 있다는 부정적인 입장도 있어 본격적인 논의는 진행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해외의 경우 대부분 국가들이 통합된 긴급 신고 번호를 사용하고 있다. 미국은 911, 영국은 999, 유럽 국가들은 112를 사용한다.
황선우 전국소방안전공무원노동조합 경기본부 위원장은 “경제협력기구(OECD) 국가 중 긴급 신고 번호 나뉜 국가는 단 6곳에 불과하다”며 “소방과 경찰 간 원활한 소통으로 신속한 사고처리가 가능해지도록 긴급 신고 번호를 통합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박진석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