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최근 화물연대 파업과 관련해 “화물연대의 파업이 장기화되고 있고, 이에 대해 (정부가) ‘강대 강’으로 가는 것이 상당히 우려스럽다”고 정부를 비판했다.
김 지사는 7일 오전 경기도청 상황실에서 진행된 주간 실국장 회의에서 “협상 이후에 충분히 화물연대와 정부 간 대화로 풀 수 있는 기회를 놓친 것이 아쉽다”며 이같이 말했다.
김 지사는 최근 10‧29 참사, 재정정책 등 여러 현안에 대해서 정부와 반대되는 입장을 보였는데 이번에도 화물연대 파업에 강경대응하고 있는 정부를 간접 비판한 셈이다.
그는 “강대 강 대결은 지양했으면 좋겠고, 정치적 대응만 걷어낸다면 합리적인 조정과 타협이 가능하다는 생각이 든다”며 “정부와 노사, 양측의 책임과 노력이 필요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화물연대의 파업은 사실 안전운임제 문제 등 여러 내용을 놓고 볼 때 충분히 예상할 수 있는 일이었다”며 “도는 비상대책수송본부를 가동하고 있고, 상황에 따라 단계별로 대응 중”이라고 설명했다.
또 “물류 대란으로 산업 피해가 많이 발생하는 등 상황이 엄중하다”며 “지난달 말부터 화물수송의 공백을 메우고자 대체 차량 투입 등을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특히 시멘트, 컨테이너, 정유 등 분야별 대책, 또 비상 운송수단 지원 등 다양한 대응책을 검토해서 공백을 최소화하겠다”고 덧붙였다.
김 지사는 또 최근 광역버스 입석 금지로 도민이 피해를 보고 있는 것에 대해 안타까움을 전했다.
그는 “버스업체의 결정이었지만, 안타까움을 금할 수 없다”며 “도는 도민불편 최소를 목표로 총 24대의 전세버스를 긴급 투입하는 등 노력을 기울였지만 여전히 도민의 불편이 있다”고 말했다.
이어 “지난 5일부터는 가장 필요한 노선과 시간에 버스를 투입했고, 이달 중 추가 투입할 예정”이라며 “(실국장들은) 도민들의 애로사항에 대해 적극 모니터링하면서 필요한 모든 방법을 강구해주시고, 중장기 대책도 빈틈없이 마련해달라”고 덧붙였다.
[ 경기신문 = 김기웅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