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0대 그룹의 올 3분기 계열사 간 채무금액잔액(채무보증)이 지난해 말보다 약 15조원 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채무보증 총액이 가장 많은 기업은 SK그룹이었다.
21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가 공정거래위원회 지정 국내 대기업집단 상위 30대 그룹 중 계열사 간 채무보증 현황을 공시한 207개 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올해 9월말 기준 계열사 간 채무보증은 87조 7161억 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말 72조 6476억 원 대비 15조 685억 원(20.7%) 늘어난 것이다.
30대 그룹 중 채무보증이 가장 많은 곳은 SK로 10조 7713억 원이었다. 이어 ▲삼성 9조 232억 원 ▲농협 8조 8936억 원 ▲포스코 7조 7565억 원 ▲LG 7조 5403억 원 ▲현대자동차 6조 9796억 원 순이다.
자본 대비 채무보증 비중이 가장 높은 곳은 효성이다. 효성의 채무보증은 5조 861억 원으로 자본(6조 3305억 원)대비 80.3%에 달했다. 자본 대비 채무 보증이 30%를 넘는 그룹은 CJ(35.4%), 농협(32.7%), 카카오(30.6%) 등이다.
지난해 말 대비 채무보증이 가장 많이 증가한 곳도 SK였다. SK 채무보증은 6조 1044억 원에서 10조 7713억 원으로 4조 6669억 원(76.5%) 늘었다. 지난해 SK 계열사인 SK이노베이션의 배터리 사업부가 SK온으로 분리되면서 관련 투자를 확대함에 따라 채무보증 규모가 늘어난 것으로 분석된다.
같은 기간 삼성은 2조 259억 원(29%) 농협 1조 9153억 원(27.4%) 한화 1조 2436억 원(25.6%) 효성 1조 1221억 원(28.3%)씩 각각 증가했다.
채무 보증이 가장 많이 줄어든 그룹은 두산이다. 지난해 말 대비 7242억 원(27.6%) 감소했다. 네이버는 2577억 원(21.1%), 현대중공업은 1986억 원(20.4%) 줄었다.
조사대상 그룹 계열 개별기업 중 3분기 말 기준 채무보증이 가장 많은 곳은 농협은행으로 8조 8838억 원에 달했다.
이어 포스코홀딩스(6조 6627억 원), SK온(4조 8568억 원), CJ제일제당(4조 5080억 원), LG에너지솔루션(3조 8602억 원), 삼성SDI(3조 5323억 원), 삼성엔지니어링(3조 3380억 원), 호텔롯데(2조 4252억 원), 미래에셋증권(2조 3202억 원) 순이었다.
개별 기업 중 채무보증이 자본 규모를 넘긴 기업은 총 10곳이었다. 이중 효성화학이 자본 5535억 원 대비 채무보증 1조 7241억 원으로 311.5%에 달해 초과 폭이 가장 컸다. 효성 계열사는 효성화학을 비롯해 효성첨단소재(140.6%) 효성티앤씨(111.6%) 효성티앤에스(108.1%) 등의 채무보증이 자본보다 많았다.
지난해 말 대비 채무보증이 가장 많이 증가한 기업은 SK온으로 2조 8808억 원에서 4조 8568억 원으로 1조 9760억 원(68.6%) 증가했다. 이외에 농협은행 1조 9210억 원(27.6%), SK에코플랜트 1조 2730억 원(992.2%), CJ제일제당 1조 577억 원(30.7%)씩 각각 증가했다.
[ 경기신문 = 백성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