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방당국이 봄철인 영농기에 농기계 사고가 집중됨에 따라 도민들에게 적절한 안전 조치를 취할 것을 당부했다.
5일 경기도소방재난본부가 발표한 ‘농기계 안전사고 유형별 통계분석 보고’ 내용에 따르면 최근 3년간 경기지역에서 발생한 농기계 안전사고는 봄철 영농기인 3~5월 71건이 발생해 전체 35%를 차지했다. 이어 가을철 수확기인 9~11월 57건이 28%로 뒤를 이었다.
연도별로는 2020년 84건, 2021년 52건, 지난해 65건으로 총 201건 발생했고, 이로 인해 목숨을 잃거나 다친 이들은 2020년 79명(사망 14명), 2021년 40명(사망 3명), 지난해 58명(사망 11명)으로 177명(사망 28명)이었다.
기계별로는 경운기가 82건으로 41%를 차지했고 뒤이어 트랙터 62건(31%), 지게차·굴삭기 각 6건(3%), 콤바인 4건(2%) 순으로 나타났다.
사고 유형은 농기계 단독이 168건 84%로 대부분 단독사고였으며, 농기계 대 차량이 19건(9%), 농기계 대 사람이 12건(6%) 등으로 뒤를 이었다.
조선호 경기도 소방재난본부장은 “농기계를 이용하는 사람들의 연령대가 높고, 농기계 사고의 치사율이 교통사고보다 11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며 “농기계 후방 추돌사고 방지를 위해 야광 반사판과 조향등과 같은 안전장치를 반드시 설치해 달라”고 강조했다.
[ 경기신문 = 박진석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