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8 (일)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김여수의 월드뮤직 세계사] 폴란드, 두 개의 심장( Dwa Serduszka)

 

오장육부 중, 유일하게 문학적인 것, 시 속에 자주 등장하는 것은 심장이다. 피아니스트 조성진의 쇼팽 연주를 듣다가 든 생각이다. 마흔도 못 채우고 떠난 생애 내내, 고국 폴란드의 혁명 실패로 타국에서 떠돌다 절명한 쇼팽. 그의 유언은 심장을 고국에 묻어달라는 것이었다. (바램대로 바르샤바의 ‘성 십자가 성당’에 안치됐다.) 쇼팽과 같은 떠돌이 삶들의 유언은 대개 ‘내 뼛가루를 고국(고향)에 묻어다오’ 정도지, 심장을 떼내 묻으라는 경우는 드물다. 심장은 마음, 영적인 것의 상징이니, 평생 피아노와 살았던 쇼팽에게 심장은 자신의 예술혼을 담은 장기였을 것이다.

 

내게 폴란드는 쇼팽이고 쇼팽의 음악은 심장이다. 그리고, 폴란드를 각인시키는 또 하나의 심장이 있으니, 폴란드 민요 Dwa Serduszka(Two Hearts; 두 개의 심장)이다.

 

폴란드 민요하면 ‘산새들이 노래한다. 수풀 속에서, 아가씨들아, 숲으로 가자......’로 시작하는 동요 ‘아가씨들아(Szta dzieweczka)’ 정도만 알고 있었는데, 폴란드 영화 ‘콜드 워(2019개봉/ 파벨 포리코브스키 감독) ’속 주제가 Dwa Serduszka를 듣고 감동 끝에 심장이 ‘총 맞은 것처럼’ 되었다. 줄거리를 한 줄로 말하자면, ‘심장 가는대로 사랑하고 예술하는 것이 불가능했던 시대, 음악인 남녀의 사랑 이야기’정도가 되겠는데, ‘불가능한 시대’라 함은 세계 2차 대전 후 나치의 마수에서 벗어난 폴란드가 공산위성국가로 살던 1950년대 이후의 냉전 시대다. 그 빙하의 온도를 알지 못하면 죽음을 불사한 20년간의 사랑도, 반복돼 나오는 Dwa Serduszka 선율의 격정도 이해할 수 없다.

 

폴란드는 (그 나라말로 폴스카로 부르는데) 서슬라브족에 속하는 폴라녜 부족이 세운 ‘폴란드인의 땅‘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수천 년 동안 여러 부족이 살던 이 땅은 966년, 미에슈코 1세 공작이 통합했고 이후 1025년, 폴란드 왕국이 세워져 역사에 등장한다. 1569년, 폴란드 –리투아니아 연합왕국이 결성돼 17세기까지 유럽의 강대국으로 군림했으나 1795년, 나폴레옹 전쟁 속에서 제정 러시아, 프로이센, 오스트리아의 분할 지배를 123년간이나 받는 처지로 전락한다. 1918년, 베르사유 조약을 통해 잠시 평화시국을 맞았으나 1939년 9월, 독일의 침공으로 세계 2차 대전의 소용돌이에 휘말린다. 전쟁 중, 또 독일과 소련에 의해 양분되고 유대인 300만 명을 포함, 600만 명의 국민이 사망하는, 2차 대전 최대 피해국이 된다.

 

전쟁 후인 1952년, 소련의 전체주의 손아귀에 잡혀 살아야 하는 위성국가가 된다. 1980년, 전기 기술자였던 레흐 바웬사의 연대자유노조 결성 등으로 대표되는 반정부 운동은 1989년, 연대자유노조의 국회 진출, 의회선거 압승, 1990년, 바웬사 대통령 당선으로 대전기를 맞는다. 나아가 1991년, 소련의 붕괴로 완전한 독립국가로 선다. 이후 시장경제로 전환한 폴란드는 민주주의 시스템을 정착시켜나가면서 공산진영이 아닌 자유진영의 최전방 국가로 자리매김한다. 전쟁의 참화, 식민의 설움, 그로 인한 이웃나라 러시아와의 적대시......우리의 어두운 역사와 겹치는 부분이 많다.

 

영화 ‘콜드 워’의 배경은 1949년에서 1964년까지, 공산주의 체제 하, 사상검증을 받으며 살아가던 냉전 시대다. 음악은 정치적 도구로만 용인 되었다. 국경을 오가며 더 뜨거워지는 20년간의 사랑, 불륜, 죽음을 떠올리게 하는 마지막...... 폴란드의 시대 배경을 모르고 보면 ‘이해와 용인이 쉽지 않은 사랑 놀음’이고 주제가 ‘Dwa Serduszka’속 반복되는 심장의 은유도 사랑노래의 통속적 표현으로 들리지 않겠는가.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