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3민주항쟁이 일어난 인천에도 민주화운동기념관을 건립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이우재 인천민주화운동계승사업회 이사장은 3일 열린 인천 5·3민주항쟁 계승대회 기념식에서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법 개정안이 국회 행정안전위원회를 통과했다”며 “우리 모두 힘을 내 본회의까지 통과될 수 있도록 하자”고 말했다.
이어 “(민주화운동이 일어난) 광역시 중 인천만 없는 민주화운동기념관 건립에 박차를 가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날 유정복 인천시장, 허식 인천시의회 의장, 도성훈 인천시교육감은 영상으로, 김교흥 의원과 이원영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상임이사는 현장에서 축사했다.
김 의원은 “하루속히 법안이 본회의에서 통과돼서 민주화운동기념관을 인천에 만들어야 한다”며 “대전 3·8민주의거기념관은 내년에 완공 예정이다. (인천도) 부지확보만 된다면 정부 예산 확보 등 노력하겠다”고 했다.
‘인천 5·3민주항쟁 계승대회 기념식’이 인천 5·3 민주항쟁 37주년을 맞아 3일 오후 6시 30분 미추홀구 주안쉼터공원(옛 시민회관 쉼터)에서 열렸다.
김교흥 국회의원, 허종식 국회의원, 문영미 정의당 인천시당 위원장, 신창현 진보당 인천시당 위원장 등이 참석했다.
대회사로 시작된 기념식은 영상시청, 축사, 연대사, 5·3 당사자 발언, 공연, 5·3 선언문 낭독 순으로 진행됐다.
이날 풍물패 더늠은 ‘다시 횃불을’을 공연했으며, 5·3 합창단은 ‘바람의 빛깔’과 ‘상록수’ 등 2곡을 불렀다. 5·3합창단은 지난 2017년 5·3민주항쟁 정신을 기념하기 위해 인천시민합창단으로 출범해 활동하고 있다.
기념식은 37주년 5·3 선언문 낭독을 끝으로 마무리됐다.
인천 5·3민주항쟁은 1986년 5월 3일 현재 미추홀구 주안동 옛 시민회관 사거리 일대에서 진행된 반독재 운동으로, 1987년 6월 항쟁의 시발점으로 평가받는다.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법 개정안은 지난 2020년 6월 인천 5‧3 민주항쟁의 법적 지위 보장을 위해 인천의 더불어민주당 소속 의원 11명 등이 발의했다.
이 개정안이 본회의를 통과하면 5·3 민주항쟁도 법적 지위를 부여받는다.

[ 경기신문 / 인천 = 김민지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