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역축제와 공연장 등의 인파가 몰릴 경우 규모를 사전에 파악하고 위험 경보를 알려주는 시스템이 올해 연말까지 구축된다.
행정안전부는 오는 1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조상명 안전정책실장 주재로 ‘현장인파관리시스템 구축’ 사업 착수 보고회를 개최한다고 10일 밝혔다.
현장인파관리시스템 구축 사업은 지난해 이태원에서 발생한 ‘10‧29 참사’ 이후 행안부가 마련한 ‘국가안전시스템 개편 종합대책’ 최우선 과제 중 하나다.
현장인파관리시스템은 이동통신사의 기지국 접속 데이터, 국토교통부의 공간정보 데이터를 수집해 인파 밀집도를 지자체 상황실 지리정보체계(GIS) 통합상황판에 표출한다.
현장상황을 실시간 점검하는 동시에 인파 밀집도에 따라 관심·주의·경계·심각의 위험경보 알림을 보면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을 전망이다.
만약 위험경보 알림이 뜨면 지자체는 상황실 폐쇄회로(CCTV) 영상을 확인한 후 경찰·소방당국과 상황을 공유하고 지침에 따라 교통통제, 인파 해산에 나선다.
행안부는 이번 착수보고회를 시작으로 오는 11월 대도시 지역 시범서비스를 거쳐 12월까지 현장인파관리시스템 구축을 완료할 계획이다.
또 2025년에는 2단계로 폐쇄회로 영상분석 기능 보강사업을 한다. 인파 밀집 현장 주변에 설치된 폐쇄회로나 드론 영상을 자동으로 인식하고 인파 밀집 여부를 분석하는 기술을 탑재한다.
[ 경기신문 = 박진석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