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교육청이 학교 현장과 교육청 간 순환 근무를 강화하기로 했다.
25일 도교육청은 인사 제도 개선 방안을 발표한 가운데 순환 근무를 통해 학교 현장의 고충을 줄이겠다고 강조했다.
앞서 도교육청은 지난해 11월부터 지방공무원 인사제도 개선협의체를 통해 학교·교육지원청‧직속기관 등 직급‧직렬별 1900여 건의 의견을 듣고 인사제도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 ‘학교 현장 근무자들이 도교육청에서 일할 기회가 적다’ 등 순환 근무가 미흡하다는 지적이 다수 표출된 것으로 전해졌다. 임태희 교육감도 학교 현장의 고충을 줄이는 방안으로 '순환근무' 활성화를 꼽은 바 있다.
이날 도교육청은 본청의 전입 문턱을 낮추고자 5급의 경우 4년 차 이하만 본청 전입할 수 있도록 기존의 연차 제한 규정을 폐지해 연차와 상관없이 능력에 따른 인사가 이뤄지도록 했으며 6급 이하 공무원들의 본청 전입 시험을 간소화하고 근무 경력자 우대조항을 폐지했다.
교원 관계자는 “순환근무 활성화로 실제 학생들을 만나는 교사들의 고충이 줄어들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도교육청은 이외에도 사회적 관심이 필요한 임신·출산 공무원과 장애인 공무원들을 위한 근무환경 개선 방안도 발표했다.
중증 장애인 공무원은 원활한 공직 적응을 위해 근무하고 있는 학교에 추가정원 확대와 각종 재활 보조공학기기 등을 지원한다. 또한 임신·출산 및 3자녀 공무원인 경우 장거리 출퇴근을 피할 수 있도록 관외 전보를 유예하기로 했다.
류영신 지방공무원인사과장은 “경기교육 조직에 활력을 불어넣고, 지방공무원들이 원하는 곳에서 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순환근무를 활성화하겠다”며 “앞으로도 현장 의견을 지속해서 듣고 소통하며 인사제도를 다듬겠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박진석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