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원, 화성, 남양주, 안성, 평택 등에서 서울로 운행하는 직행좌석버스, 광역급행버스(M버스) 등 7개 노선이 준공영제로 전환된다.
이에 따라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대광위)는 이달 20일부터 8월 1일까지 직행좌석버스와 광역급행버스 준공영제 7개 노선을 순차적으로 운행 개시한다.
구체적인 일정은 ▲20일 안성 4401(한경대~양재꽃시장), 수원 M5422(삼성전자~강남역) ▲30일 화성 M4434(동탄2신도시~강남역), 수원 M5443(호매실스타힐스~강남역) ▲7월 17일 평택 5401(지제역~강남역), 남양주 M2353(진건지구~잠실) ▲8월 1일 수원 M5115(광교~서울역) 등이다.
직행좌석버스 안성 4401과 평택 5401은 신설노선이다. 광역급행버스 5개 노선은 민간이 운영을 결정하는 민영제에서 정부가 운영체계 전반을 책임지는 준공영제로 전환됐다.
이번에 운행되는 광역버스 7개 노선을 포함해 현재 99개 노선을 대광위 준공영제로 운영 중이며, 올해 안으로 신설 12개 노선과 이관 42개 노선을 더해 153개까지 준공영제 노선을 확대할 계획이다.
대광위는 운행을 개시하는 7개 노선에 대해 이용현황을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해 수요에 따른 배차간격 조정 및 증차·증회 운행 등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원희룡 국토부 장관은 "이번 신설 및 준공영제 전환을 통해 서울로의 접근성이 개선될 뿐만 아니라, 국가 재정지원으로 보다 안정적인 운행과 매년 평가를 통한 서비스의 질적 개선이 가능해 질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백성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