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건의료노조가 이틀간 총파업에 돌입한 가운데 경기지역에서는 20개 병원에 7700여 명이 파업에 참여하고 있다.
13일 민주노총 보건의료노조 경기본부에 따르면 이날부터 진행된 산별노조 총파업에 경기지역에서는 총 조합원의 60%인 17개 지부 소속 7700여 명이 파업에 참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내 파업 대상 사업장은 총 20곳으로 동국대병원, 아주대의료원, 한림대의료원(평촌, 동탄, 강남, 한강), 국립암센터, 경기적십자기관, 경기도의료원(수원·안성병원·의정부·이천·파주·포천병원), 광명성애병원, 메트로병원, 원진녹색병원, 국립교통재활병원, 새로운경기도립정신병원, SRC 등이다.
간호사·간호조무사·약사 등 대부분 보건의료직역이 파업에 동참한다.
다만 응급실·수술실·중환자실·분만실·신생아실 등 환자 생명과 직결된 필수인력 인원은 제외되며, 응급의료센터 등 24시간 비상진료체계는 유지된다.
경기본부 조합원 500여 명은 파업 첫날인 이날 오전 8시부터 아주대의료원 인근에서 결의대회를 열었다.
오는 14일에는 거점 지역별 집회가 예정된 가운데 경기본부는 서울본부 조합원들과 광화문~대한문 일대에 모여 결의대회를 열 계획이다.
보건의료노조 경기본부 관계자는 “파업 기간 참여 인원이 모두 동시에 근무를 중단하는 것은 아니다”라며 “각 병원별로 정해진 필수유지 업무 인원이 확보되도록 교대로 파업에 참여하는 등 유동적으로 대응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노조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전면확대를 통한 간병비 해결 ▲보건의료인력 확충 ▲직종별 적정인력 기준 마련과 업무 범위 명확화 ▲의사 확충과 불법 의료 근절 ▲공공의료 확충과 코로나19 대응에 따른 감염병 전담병원 회복기 지원 확대 등을 요구하고 있다.
총파업은 14일까지 예정돼 있지만, 노조의 요구사항이 수용되지 않으면 15일 이후까지 무기한 총파업에 들어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경기신문 = 박진석 기자 ]